신형 그랜저(IG)가 출시 임박했습니다. 렌더링 이미지에 이어 실사 사진도 유출됐고요. 그리고 CF 영상도 공개됐죠. 이번달 하순에 완전 공개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CF 영상을 본 순간 저는 현대차 그랜저의 가치가 한 단계 더 낮아졌다고 생각됩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왜 나오지도 않은차를 혹평하냐고 생각하시겠지만 제 개인적인 관점에서는 그렇다라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신형 그랜저가 좋지 않은 걸까요? 절대로 그건 아닙니다. 현재 판매되는 그랜저 HG도 저한테 아주 과분할 정도로 좋습니다. 강력한 성능, 넓은 공간과 안락함 때문에라도 그랜저는 편안하게 타기엔 더없이 좋은 차라고 생각됩니다.

 

무엇보다도 위 급 모델인 에쿠스나 제네시스 대비 낮은 가격도 그랜저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죠. 하지만 그럼에도 그랜저는 가치가 점점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현대차에서 공개한 신형 그랜저 CF를 보면서 현대차에서 스스로 그랜저의 가치를 떨어뜨렸다고 생각됩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랜저 CF 변천사.

 

그랜저는 1990년대만 하더라도 누구나 구매할 수 없는 차. 고위 관료직과 전문직 성공한 CEO들이 타는 부의 상징과 같은 모델입니다.

 

아래 CF를 보시죠. CF 모델 두명의 노신사가 출연하면서 이 차의 타겟은 편안함과 부드러움을 원하는 중년층 이상을 타겟으로 잡은 모델입니다. 수입차를 쉽게 구매할 수 없었던 시절 그랜저는 누구나 동경하는 대상이기도 했고 드림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의 플래그십 모델이 그랜저에서 다이너스티, 에쿠스로 넘어가면서 그랜저는 XG시절부터 상류층을 위한 부의 상징에서 고소득 전문직과 성공한 중산층을 위한 모델이 됐고 2005년 출시한 그랜저 TG, 그리고 2011년 출시한 그랜저HG로 갈수록 구매연령층이 젊어지고 여유 자금이 많으면 누구나 구매할 수 있는 차가 됐습니다.

 

아래 영상은 아주 유명하죠. “요즘 어떻게 지내냐의 친구의 말에 그랜저로 대답했습니다라는 멘트로 화제가 됐었죠.


 

CF가 방영된 이후 물질주의적 시각이 다분한 CF라는 비판과 함께 교과서에서도 소개됐었다고 합니다.(저는 실제로 교과서는 본적이 없어서...)

 

그래도 그랜저 TG의 경우 상류층의 상징은 아니지만 말쑥한 정장에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와 중산층들이 구매하는 모델이라는 인식이 있었고 그랜저 HG 또한 아슬란이 출시되기 전까지는 이런 이미지가 가미됐습니다.

 

하지만 2014년 그랜저 상위 모델인 현대 아슬란이 출시되면서 그랜저의 타겟 연령층은 점점 낮아졌습니다.

 

아래 영상은 최근까지 방영된 그랜저 CF입니다. 1990년대 부유한 노년층들이 운전했던 그랜저가 이젠 분가 후 장성한 자식이 아버지를 조수석에 태우고 들국화의 걱정말아요 그대라는 CF송이 은은하게 들립니다.


 

이 영상을 통해 자식은 아버지에게 더 이상 기대지 않고 성공적으로 자립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공적인 자립했다는 증거의 자산이 그랜저라고 저는 느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공개한 신형 그랜저 CF에서 다이내믹한 성능을 강조하는 장면이 부각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그랜저를 바꾸다라는 멘트를 노출시켰죠.

 

여기서는 운전하는 모델이 등장하지 않습니다만 강력한 성능을 상징하는 드리프트(아니 근데 전륜구동에 왜 자꾸 드립질 읍읍)장면을 잠깐 노출시켜 성능적인 측면을 부각시켰습니다.

 

40대 이상 중장년층과 함께 20-30대도 겨냥한 그랜저 IG

 


위의 신형 그랜저 CF 영상을 다시 보세요. 일단 성능 어필을 떠나서 디자인이 참 젊어졌습니다. 큰 아반떼와 같은 느낌일까요?


신형 그랜저 광고만 보면 20-30대를 타겟층으로 잡은걸까? 라고 착각할 수도 있을 겁니다. 20-30대는 그랜저, 40대 이후 중장년층는 제네시스 G80, EQ900 주 타겟층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소득이 받쳐주지 않는 이상 G80, EQ900은 소득수준이 높은 중장년층이라고 해도 쉽게 구매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그랜저는 가치가 낮아져도 여전히 주력 구매층은 40대 이상입니다. 다만 과거와 다르게 구매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30대에서도 그랜저를 구매하는 경우가 흔해지긴 했습니다.

 

신형 그랜저IG 광고는 그 동안 그랜저에서 어필하지 않은 성능 부분을 중점으로 내세웠습니다. 과거와 다르게 서킷과 와인딩을 즐기거나 드라이빙 스쿨이 활성화되면서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성능과 드라이빙 즐거움을 추구하는 운전자들이 늘고 있는데요.

 

여기에 디자인도 한층 더 공격적이고 젊어진 프런트 페이스 디자인으로 인해 현대차는 20대 연령층까지 확보하려는 의도가 엿보이는 듯 합니다. 웹영화 특근에서 6세대 그랜저를 운전하는 배우 주원의 나이는 만 29... 아직 계란 한판이 안됐죠.


누구나 넘볼수 없는 상징성을 지닌 과거의 그랜저와 다르게 지금의 그랜저는 구매 문턱이 확실히 낮아졌다고 생각됩니다.  

가격은 예상대로 기존 그랜저HG보다 좀더 상승했고요.


편의사양이나 옵션은 좋은듯 합니다.


최종 가격 나오면 그때 한번 더 포스팅해볼게요.


3.3 라인업이 빠진건 아마 아슬란 때문인 듯 합니다.


출처-http://www.hyundai.com/kr/showroom.do?carCd1=RD032




벤츠 E 클래스 BMW 5 시리즈를 보면 출력이 가장 낮은 2.0L 가솔린, 디젤 엔진부터 V8 고배기량 엔진까지 다양한 엔진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무난하게 탄다면 출력이 가장 낮은 하위 트림들을 선택해도 무방하지만 짜릿한 성능과 강인한 익스테리어 디자인으로 무장한 벤츠 AMG, BMW M 등을 선택할 수 있지요.

 

그리고 무난하게 타고 싶지만 좀더 강력한 성능이 필요한 경우 또는 AMG, M 등의 과격한 퍼포먼스가 부담스러운 사람들을 위한 300-400마력대의 준고성능 트림도 존재합니다. BMW 540i 또는 벤츠 E400 모델이 여기에 해당되겠죠.


 

도전자 입장에 서 있는 제네시스 G80 스포츠는 벤츠 E400, BMW 540i 같은 모델과 경쟁합니다. 그리고 도전자 답게 배기량이 0.3L 더 높고, 최고출력과 최대토크도 더 높습니다. 각각 333마력, 340마력의 출력을 갖춘 경쟁 모델보다 더 높습니다.

 

지난해 현대기아 R&D 모터쇼에서 이 엔진을 소개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 엔진은 알루미늄 오일팬과 오일쿨러를 갖추고 하니웰사의 터빈 2개가 장착됐습니다. 터빈 2개 등 여러 부품들이 추가되면서 엔진중량은 동배기량 자연흡기엔진과 비교해 약 40kg 증대됐습니다.


 

과거와 다르게 현대기아차의 가속성능은 세계 유수 브랜드와 비교해도 꿀리지 않습니다. G80 스포츠의 경우에도 0-100km/h 성능측정 영상이 올라오고 있는데요. 예상했던 대로 시속 100km/h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5초대 정도였습니다.


 

제네시스 브랜드의 고성능 모델인 만큼 기존 G80과 비교해 독특한 악세사리들이 추가됐습니다. 휠캡과 LED 헤드램프 바깥쪽은 버건디 컬러로 마감했고요.


 

G80 스포츠 전용 바디컬러와 내장재 컬러입니다. 이왕이면 좀더 높은 채색의 컬러로 마감하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인테리어 사진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 좌우 버킷이 좀더 튀어나온 버킷시트입니다. 시트포지션도 종전 제네시스 DH 또는 기존 G80보다 좀더 낮게 셋팅 가능했는데요. 실제로 주행해보지 않아 승차감이 어떨지 궁금해집니다.

 

370마력 3.3T 가솔린 엔진

 


G80 스포츠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가장 강력한 고성능 모델이지만 벤츠 AMG, BMW M 등의 탑 퍼포먼스 모델에는 못미칩니다. 앞어 언급했지만 E400, 540i 등이 실질적인 경쟁모델이죠.


아직 G80 스포츠 취급설명서가 나오지 않았지만 같은 엔진을 탑재한 EQ900 취급설명서를 보면 엔진오일은 6.9L입니다. G80 3.3-3.8L 자연흡기 엔진과 비슷하죠.


 

교환주기를 보시면 열이 많이 발생하는 터보 엔진이어서 그런지 3.3-3.8L 자연흡기 엔진과 비교시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상당히 짧습니다. 통상주행 8000km 가혹주행 5000km입니다.

 

이전에 현대기아 1.6-2.0L T-GDI 엔진들의 교환주기랑 비슷할 정도로 짧은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보통 시내주행비율이 높고 혹한과 혹서기 등 기온과 습도변화가 큰 만큼 오일교환주기를 조금 짧게 잡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G80 스포츠라는 네이밍 때문에 막연한 고성능을 기대할 수도 있겠지만 이 차량은 기존 G80보다 좀더 가속력이 좋고 좀더 재밌는 운전을 즐길 수 있는 차량일 뿐 너무 큰 기대는 안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출처-보배드림



일단 사진만 올려볼께요.



그런데... 왜 저는 뒷모습이 닷지 다트가 떠오를까요?





아래 이미지는 현대 신형 그랜저 렌더링 이미지라고 합니다. 프런트 이미지만 보면 제네시스의 그것과 닮았는데요. 


특히 그릴을 보시면 그릴 내부에 크롬 도금한 가로줄들이 나란히 적용되어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i30 중심으로 캐스캐이딩 그릴, 제네시스 브랜드에는 크래스트 그릴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신형 그랜저는 제네시스 브랜드가 아님에도 크래스트 그릴과 가까워 보입니다. 



사이드뷰 모습인데요. 그랜저 IG는 현행 그랜저 HG와 비슷해 보이는건 저만의 착각일까요? 


현행 그랜저와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번호판 위치를 트렁크에서 리어 범퍼로 내렸습니다. 현행 K7과 비슷하죠.


아직 실차가 나오지 않았는데요 신형 그랜저가 현재 2.4-3.6L급 전륜구동 준대형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만큼 이번 신형 모델도 성공할 듯 합니다.


차가 좋아서라기 보다는 브랜드와 자동차 네이밍 보고 구매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요 ㅎㅎ


이 외에 다른 랜더링 이미지도 올려보겠습니다. 출처는 보배드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