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업체중 가장 큰 현대차의 베스트셀러 모델은 무엇이 있을까요? 보통 쏘나타, 아반떼, 그랜저를 떠올릴 것입니다.(올해는 싼타페가 베스트셀러)


그 중에서 2004년에 출시했던 NF 쏘나타, 2009년에 출시했던 YF 쏘나타 두 모델은 역대 쏘나타 시리즈 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는데요. YF 쏘나타는 출시첫해인 2009년 11월 판매량은 2만대 이상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2016년 12월 출시해 2018년 2월까지 월별 판매량 1위를 계속 지켰던 현대 그랜저IG도 월별 판매량 1만7000대를 넘지는 못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놀라운 것은 2009년 출시한 YF 쏘나타는 2.0 MPI 엔진 하나만 탑재되어 판매됐는데요. 세타 2.4 GDI 엔진은 2010년 상반기, 세타 2.0 터보 엔진은 2012년에 추가됐습니다.


YF 쏘나타는 디자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진보를 이룬 모델인데요. 현대차가 제시한 디자인 언어 플루딕 스컬프쳐를 접목한 첫 모델입니다.



현대차는 당시 5년 후 미래를 내다보고 YF 쏘나타 디자인을 결정했다고 하는데요. 솔직히 지금봐도 YF 쏘나타 디자인은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됩니다.(LF 쏘나타 대비)


YF 쏘나타 디자인 뿐만 아니라 성능과 연비 또한 형제모델 K5와 함께 우위를 점했습니다. 경쟁 모델인 르노삼성 SM5, 쉐보레 말리부 엔진 출력이 약 140마력에 머물렀지만 YF 쏘나타, 1세대 K5는 세타 165마력, 누우 172마력이죠.


가속력? 당연히 페이퍼 스펙이 높았던 YF 소나타 1세대 K5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YF쏘나타는 2.0 가솔린 엔진 탑재된 국산중형차 최초로 제로백 10초 미만을 끊었으며, 연비 또한 동급 쉐보레 말리부와, 르노삼성 SM5보다 우위에 있었습니다.


거기에 높은 초기품질과 화려하고 풍부한 편의사양 다양한 라인업으로 무장했으니 당연히 중형차 구매를 원하는 국내 소비자들이 YF 쏘나타를 마다할 이유가 없겠죠



여기에 2011년에 출시한 세타 2.0 터보 모델은 최고출력 271마력 고성능 모델로 당시 위급 모델인 그랜저HG 3.0 모델은 물론 3.3 셀러브리티까지 롤링레이스에서 이겼다는 말이 들릴 정도로 잘 나갔던 모델입니다.


하지만 문제도 많았습니다. YF쏘나타 주행거리 많은 고객들 중심으로 엔진 결함을 호소하는 오너들이 증가하더니 2015년 공중파 종편 TV 등에서 현대기아차 GDI 엔진 결함에 대한 뉴스를 보도가 나오면서 세타 2.4 GDI, 세타 2.0 터보 GDI 엔진은 현대기아차가 보증을 해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정말 많이 판매됐던 세타 2.0 MPI 엔진에 대한 보증이야기는 아직 무소식이죠.


그렇다면 2012년 세타2 엔진 후속으로 탑재된 누우 엔진은 괜찮을까요? 누우 엔진은 1-2년 전만 해도 피스톤 스커핑 이슈가 많지 않았지만 최근 증가 추세입니다.



최근에 제가 자동차 커뮤니티에서 중고차 딜러분과 이야기를 나눈적 있었는데요. 실제 중고차 딜러분들도 YF 쏘나타 세타2 엔진 탑재 모델은 권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뿐만 아니라 딜러분들이 YF 쏘나타 매입시 스커핑 소음이 들리면 매입을 기피하고 있으며, 만약 매입할 때 스커핑소음이 들리면 엔진보링값까지 차감해 매입가를 제시한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YF 쏘나타는 불안한 주행안전성과 자잘한 불량도 적지 않았는데요. NF 쏘나타부터 이어져왔던 리어램프 전구 내구성이 YF 쏘나타 또한 좋지 않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맨 위에 있는 영상에서 볼 수 있으며, 이번 영상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2005년 전후로 가솔린, LPG 자동차보다 연비가 월등히 높은 디젤승용차가 등장했습니다. 디젤승용차는 연비 뿐만 아니라 당시 지구온난화 주범으로 지목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가솔린 LPG보다 배출량이 낮아 디젤차=친환경 이라는 공식까지 나올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2015년 9월 소프트웨어로 배출가스 조작한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가 폭로되면서 디젤차가 질소산화물(NOx)을 더 많이 배출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됐습니다.


NOx는 대기중 수분과 만나면 산성비의 원인이 되어 식물에 큰 피해를 입히고 인체에도 유해해 폐기종, 기관지염 등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완성차 업체들은 이 질소산화물을 줄이기 위한 저감장치 성능을 높이는데 주력했는데요. 보통 LNT라는 질소산화물저감 촉매가 DPF 매연저감필터와 일체형으로 붙어있습니다. 대부분 국산차는 이 LNT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그런데 디젤차 특히 LNT만 탑재된 디젤차의 경우 단거리 시내주행만 한다면 최악의 경우 엄청난 수리비 폭탄에 떠안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위에 있는 영상을 보시면 나옵니다.




지금은 잠잠해졌지만 기아차 쏘렌토에서 정체불명의 백색가루가 유입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문제된 쏘렌토 모델은 2014년부터 판매되는 올뉴쏘렌토, 더뉴쏘렌토 모델이 해당되며, 쏘렌토 차주들은 이 백색가루가 에바포레이터 내부 코팅된 알루미늄이 산화되어 떨어진다고 합니다.


이 가루의 정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일부 네티즌들은 인체에 해로운 수산화나트륨 또는 알루미늄가루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쏘렌토 차주와 동호회 중심으로 이 백색가루를 ‘에바가루’라고 부르고 있는데요. 기아차는 2017년 10월 이후는 개선품이 적용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백색가루가 유입되는 쏘렌토 소유주들이 원하면 에바포레이터 등의 공조장치를 교환해주고 있다.


하지만 해결책에 대해 차주들은 “대시보드 탈거 후 재조립하면 잡소리 발생할 확률이 높다”며 기아차에서 제시한 해결책을 못미더워 하고 있다.


이러한 에바가루 논란은 자동차에어컨 뿐만 아니라 과거 가정용 에어컨에서도 백색가루가 뿜어지면서 문제가 된 사례가 있다.



지난 2012~2013년 LG휘센에어컨 일부 모델에서 백색가루가 뿜어져 나와 기침 등 호흡기질환과 영유아 피부염을 유발시켰다는 피해자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LG전자는 “먼지가 많으면 응축수가 달라붙어 가루 형태로 뿜어져 나온다”라고 밝히며,  소비자가 원하는 경우 환불과 제품 교환 등의 서비스를 진행해주기도 했다.


다만 일부소비자가 제기한 호흡기질환과 영유아 피부염은 에어컨과 무관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럼 에바가루는 모든 쏘렌토에 해당되는 문제일까요? 그건 아닙니다. 자세한 건 위 영상 중반부부터 보시면 나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지난 주말 고속도로에서 코란도 승용차가 중앙분리대를 긁으면서 주행하는 것을 투스카니 운전자가 자신의 차로 막아 큰 사고를 막은 선행이 알려졌습니다.


투스카니 운전자의 선행이 뉴스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네티즌들은 투스카니 의인 또는 고속도로 의인이라고 칭송하기 시작했는데요. 투스카니를 판매했던 현대차 측은 투스카니 의인에게 무상으로 수리하겠다고 제의했지만 투스카니 의인은 사양했습니다.


여기에 감명받은 현대차는 벨로스터를 선물하겠다고 했지만 투스카니 의인은 거절했는데요. 현대차가 투스카니 의인을 겨우 설득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럼 현대차는 왜 벨로스터를 선물하겠다고 했을까요? 벨로스터는 현재 2세대 모델이 판매중인데 1세대와 2세대 둘다 판매실적이 저조합니다.


판매실적이 낮은 이유는 벨로스터는 구형이나 신형 모두 i30, 아반떼와 비교해 공간이 좁아 실용성과 거리가 멀고 혼자 또는 2사람이 탑승하기에 딱 알맞습니다. 조수석 2열 도어가 있지만 그래도 i30이나 아반떼보다 탑승이 불편하죠.


현대차 입장에서는 올해 첫 신차 벨로스터 판매실적이 좋지 않아 속앓이 많이 했을겁니다.


그런데 고속도로 의인의 선행 사례와 그가 소유한 투스카니가 뉴스에 보도되기 시작했고 고속도로 의인의 차량 뒷부분이 충돌로 파손되어 수리해야 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현대차는 고속도로 의인에게 마침 성격이 비슷한 벨로스터를 선물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실제로 현대차가 벨로스터를 선물한다는 사실이 보도되면서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포털 상위 검색어 1,2위가 투스카니 벨로스터 모델명이 올라가기도 했습니다.


다음과 네이버 주요포털 실검 1위를 기록한 벨로스터와 투스카니


위 이미지를 보면 아시겠지만 벨로스터와 투스카니가 실검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투스카니가 먼저 실검에 올라갔고 그 후 벨로스터가 올라간 걸로 아는데요.


아마 마케팅 종사자 분들은 아시겠지만 포털에서 실검 1위와 2위를 차지하는게 얼마나 큰 가치인지 아실겁니다. 실검 검색어를 올리기 위해 대가를 받고 실검 검색어를 상위 노출시키는 대행사도 있을 정도니까요.



즉 현대차는 벨로스터 1대를 선물로 기증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벨로스터라는 모델을 국내 네티즌들에게 알리는 홍보 효과를 크게 거둔 셈입니다. 보통 대기업들의 광고 PPL 등 마케팅 비용이 많게는 억대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현대차의 행동은 벨로스터라는 모델 홍보효과는 물론 현대차라는 기업 이미지를 저절로 개선시키는 일석이조 아니 그 이상을 달성했다고 생각됩니다.


아마도 현대차 관계자라면 지금 순간을 매우 즐길 겁니다. 싸면서도 몇배 이상 높은 효과를 거둔 셈이니까요. LG가 감동을 준 사람들과 의인들에게 제품을 무상 지급하거나 선행상을 표창하는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무상 기부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기업 이미지 개선과 자사 제품을 알리는데 이런 마케팅 방법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영상을 보시면 나옵니다.


위 영상은 BMW 320d를 소유한 오너분이 지난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사소한 고장부터 주행중 시동이 꺼져 사고날 뻔한 아찔한 순간까지 과정을 나열했습니다.


BMW 320d 오너분의 주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계기판에 냉각수 부족 경고등이 점멸됐고, 바로 냉각수를 보충하셨습니다.


하지만 냉각수 보충 이후 2주가 지난 12월29일 또다시 냉각수 부족 경고등이 점멸됐습니다. 또한 엔진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차주분이 확인하고 정비요청을 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BMW 서비스센터측은 냉각수가 간혹 연소되어 부족할 수 있다며, 냉각수를 다시 보충시켰으며, 누유는 육안으로 확인이 안된다고 해서 출고했습니다.


이후 올해 1월16일 다시 냉각수 부족경고등이 점멸되어 BMW측에 수리점검 요청했지만 서비스센터측은 EGR쿨러에서 연소될 확률이 높다며, 문제없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후에도 1월 30일, 2월 13일에도 각각 냉각수 부족 경고등이 점멸됐으며, BMW측은 2월 13일 되어서야 차주분의 320d 차량에 심각한 이상이 있음을 인지했습니다.


2월25일 오너분은 서울로 향하는 도중 최대구동출력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경고메시지가 나오는 것과 동시에 주행중 시동꺼짐이 최초로 발생했습니다.



고속도로 순찰대로부터의 안전 견인으로 인해 서이천IC(안전지역)으로 대피했고, BMW 서비스센터에서 진단 결과 EGR쿨러 문제로 시동이 꺼진게 확인됐고, EGR쿨러 교체하고 냉각수 에어빼기 과정도 거쳤다고 합니다.


하지만 BMW 테스트드라이버가 3월 20일 주행테스트를 하는 도중 그리고 남청주IC 부근에서 시동이 한번 꺼지고 시동걸고 출발할 때 다시 시동이 꺼지고 이후 완전히 시동이 꺼지면서 차가 고장났습니다.


차주분은 한국소비자원에 피해구제 요청을 했고, 현재 정비중단을 요청했다고 합니다.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구매한 수입차에서 이런 증상을 반복적으로 겪은 오너분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닐겁니다. 오너분이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BMW에서 성심성의껏 차를 진단해 문제되는 부품을 고쳤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