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 커뮤니티 동호회에 논란이 되는 교통사고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영상 속의 장면은 교통사고로 파손된 현대 코나 사진인데요. 그런데 파손 수준이 큰 편임에도 에어백이 터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코나는 왜 에어백이 왜 터지지 않았을까요? 위 영상을 보면 정차한 앞차량을 차주가 브레이크 밟지 않고 그대로 앞차를 들이받는 교통사고를 냅니다. 제 생각에 이건 100% 코나 차주 과실이죠.


제 개인적인 판단이지만 충돌당시 속도는 시속 50-60km/h 정도 된다고 봅니다. 앞에 차가 있음에도 왜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는지 알 수 없지만 이런 사고 때문에라도 긴급제동장치 등의 안전사양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다만 저는 이 사고에 대한 잘잘못을 가리는 게 아니고 이 상황에서 에어백이 왜 터지지 않았는지 짚어보겠습니다.


속도가 높은데 왜 에어백이 터지지 않았나?





우리나라 포함해 세계 각국은 ncap이라는 자동차 충돌테스트를 진행하는데요. 우리나라는 완전정면충돌 56km/h 부분정변충돌 64km/h 충돌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현대 코나의 충돌시 속도만 보면 에어백은 터지는 게 맞습니다. 이보다 더 낮은 속도에서도 에어백 터진 사례는 얼마든지 많거든요.


하지만 영상속에서 충돌당한차 그리고 코나 사고 후 사진을 유심히 보세요. 추돌사고 당한 앞차는 현대 아반떼입니다. 코나는 SUV 아반떼는 승용차인데요 공차중량의 경우 코나보다 아반떼가 조금 더 가볍습니다.


보통 추돌사고시 무겁고 큰차가 가볍고 작은차보다 더 온전히 보전됩니다. 거기에 코나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충돌했는데요. 보통 뒤에서 받은차가 앞차보다 더 많이 찌그러진다고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앞차 후미를 추돌한 뒤차는 대부분 브레이크를 꾹 밟은 상태에서 사고를 냅니다. 이렇게 되면 뒤차는 앞부분이 아래쪽으로 쏠린 상태에서 사고가 나며 뒤차량 앞범퍼가 앞차 뒷범퍼 아래쪽에서 들이받아 뒤차가 더 많이 부서집니다.


이때 브레이크를 밟지 않거나 오히려 엑셀페달을 밟게 되면 정반대로 뒤차가 아닌 앞차가 더 많이 찌그러집니다.


또한 단단하게 고정된 벽이 아니기 때문에 앞차가 추돌 후 앞으로 튕겨져 나갔죠.



따라서 코나는 속도가 높은 상태에서 충돌했지만 앞차가 충격과 함께 앞으로 튕겨져 나가면서 코나가 받은 충격에너지는 크진 않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코나는 SUV라서 앞쪽 윗부분은 상대적으로 덜 찌그러졌죠.


코나의 에어백 센서위치를 보면 전면 라디에이터 상단 좌우측에 두 개의 센서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현대차 대부분의 모델은 미국수출형과 동일한  어드밴스드 에어백을 장착하는데요  찌그러진 코나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에어백 센서가 있는 위치는 라디에이터 위쪽 좌우측 그러니까 충격이 적은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현대차를 위한 변명이라고 보실수 있겠지만 충돌할 때 충격에너지가 에어백 전개 기준치에 미달해 에어백이 안터졌다고 생각됩니다.


운전석 에어백은 정면충돌시 운전자의 안면과 가슴을 보호하는데요. 관건은 코나에 탑승한 운전자와 동승자분께서 부상 입으실 때 스티어링휠에 얼굴과 안면에 직접 타격을 받아 부상 입으셨는지 궁금합니다.



후송 후 통원치료중이라는 운전자분의 글을 보니  큰 부상은 아니신 듯 한데요. 


이 사고영상을 보면서 7년전 제보받은 YF 쏘나타 에어백 미전개 사고가 생각납니다.  당시 쏘나타 차주분이 왜 에어백이 전개 안됐냐고 현대차에 항의했는데 현대차 측은 에어백 전개될 조건 수준으로 충격에너지가 전달이 안되었다고 합니다.


차주분께 사고당시 부상 부위를 물어봤는데 안면과 가슴에 타격받지 않았고 목 부위에 부상만 입으셨다고 하는데요. 목은 에어백과 관련없습니다.


맨 위 영상속의 코나 차주분이 사고후 입원하지 않고 통원치료 받았다는 것만 봐도 사고시 안면과 흉부에 직접 타격을 받지 않았으리라 예상됩니다. 보통 흉부에 타격받으면 갈비뼈 골절되는데 갈비뼈 골절은 입원해야 하거든요


제 개인적인 결론이지만 현대 코나의 에어백 미전개 사고는  현대차 결함이라고 단정지을수는 없다고 봅니다.



최근 쌍용 소형 SUV 티볼리에서 주행중 화재가 발생한 운전자의 사연이 올라왔습니다.


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엉뚱티라는 분이 올린 억울한 사연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2월 26일 13시23분 왕복 2차선 도로 주행중 '퍽'하는 소음을 들렸는데 목적지까지 얼마 남지 않아서 그대로 주행하기로 결정한 운전자와 동승자는 목적지에 도착하기 직전 계기판에서 에어백 등 경고등이 점멸됐습니다. 이때 냉각수 온도는 정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최종목적지인 펜션에 도착후 자동차 하부에서 화재를 발견했는데 다행히 펜션소화기가 있어 운전자가 직접 차량 화재진압 했고,  근처에 있던 산불감시원이 화재진압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운전자 측은 블랙박스 확인결과 도로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기록이 없다고 주장했는데요.


이에 대해 쌍용차 측은 라디에이터 아래에 있는 하부 프레임이 찌그러졌다는 이유로 주행중 강하게 외부 충격을 받아 화재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티볼리 운전자는 엔진룸 하부에 보호용 커버가 있는데  외부충격으로 화재가 발생했다는 쌍용차 측의 주장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운전자는 쌍용차 사업소에 입고전 1급 공업사에 잠시 차를 맡겼는데 공업사 측은 자동차 배선 문제로 화재가 발생한 거 같다 라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저도 해당 차량을 직접 봤고 연료누출이나 엔진오일등이 새면서 문제가 발생 여부도 보았는데 엔진오일량은 정상이며, 연료 누출 등의 문제도 없었습니다.




지금 열리고 있는 뉴욕오토쇼에 투싼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됐습니다. 북미에 먼저 공개된 모델인 만큼 파워트레인도 북미사양이 먼저 공개됐는데요.


특이한점이 있다면 현재 판매되는 1.6L 가솔린 터보 엔진 라인업이 삭제되고 2.0~2.4L 가솔린 엔진만 적용됐습니다. 그 외에 나머지 정보는 아직 공개가 안된 상태인데요.


제가 투싼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신형 투싼 디자인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비교는 맨 위에 있는 영상을 통해 보시면 됩니다.




 


자동차는 운전자가 의도한 대로 주행하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입니다.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고장나거나 부품이 부러져 주행이 불가능하면 운전자 입장에서는 물질적, 정신적으로 큰 손해를 입게되죠.


그런데 최근 현대차 그랜저HG, 기아차 K7 중심으로 주행중 스프링이 끊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비단 이들 차량뿐만 아니라 싼타페, 쏘렌토, 쏘나타 등의 차량에서도 주행중 스프링이 끊어졌다는 차주들의 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하중을 지탱하는 서스펜션은 스프링과 쇽업쇼버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스프링은 각각의 타이어에 가해지는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하고 과속방지턱과 요철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합니다.


쇽업쇼버는 주행시 스프링의 진동과 움직임을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요. 이렇듯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프링은 주행중 파손시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자동차의 부품 중에서 강도가 가장 높아야 합니다.


이번 스프링 끊어짐 결함 사례는 가솔린 엔진보다 무게가 무거운 디젤엔진을 탑재했거나 4기통보다 부피가 크고 6기통 가솔린 엔진 탑재한 승용차 SUV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엔진의 하중을 지탱하는 전륜스프링이 주로 파손되고 있습니다.


스프링은 주행중 어떠한 충격에도 파손되면 안되고 변형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보통 폐차할 때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대체 주행중 스프링이 파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보통주행중 스프링을 파손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충격을 받는 경우 그리고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불량으로 스프링 내부에서 부식되어 끊어진 경우입니다.


최근 현대기아차 스프링이 파손사고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게 없습니다.



위 영상은 급발진 수준으로 급가속 해야 하는 상황을 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첫 번째는 고속도로 본선 합류시 가능하면 속도를 충분히 높여 합류해야 하는데요. 졸음쉼터는 합류구간이 짧아 급가속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왕복 2차선 도로에서 느리게 가는 앞차를 추월할 때에도 급가속이 필요합니다. 


왕복 2차선 도로에서 저속으로 주행하는 앞차를 추월해야 하는 경우 쭉 뻗은 평지 구간에서 추월해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쭉 뻗은 평지 구간에서 차량이 마주오는지 확인을 먼저한 후 마주오는차가 없고 안전하다고 판단될 때 추월하면 됩니다.


이때 기어는 구동력 강한 저단으로 내리고 급가속 한 후 오른쪽 사이드미러에 추월대상차가 보이면 서서히 정상차선으로 복귀하세요


또한 디젤차는 연소 특성상 급가속을 해줘야 하는데요. 디젤차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장치 DPF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DPF는 미세먼지가 일정량 이상 쌓이면 연료를 더 많이 분사시켜 DPF까지 도달한 연료가 산소와 반응해 높은 고열을 일으켜 미세먼지를 태웁니다.


그런데 DPF에서 미세먼지를 태우는 것도 한계가 있는데요. 디젤차는 가솔린보다 배기가스 온도가 낮은데 짧은 시내주행이 많으면 DPF에 먼지가 더 많이 축적되고 DPF 스스로 정화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 미세먼지가 쌓이면 DPF가 막혀 자동차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디젤차는 시간날 때 가끔식 급가속 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