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킬로미터를 주행하는데 1리터의 디젤연료만 필요할 뿐이다.


  세아트 레온이 친환경 시스템인 엔진+전기모터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장착하고 데뷔하였다.

  세아트 뉴 레온 트윈 드라이브 모델은 가솔린+전기모터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모델로 세아트에서는 하이브리드시스템을 트윈 드라이브 테크놀로지라는 독자적인 명칭을 사용하며 이번에 공개된 모델은 프로토타입 모델이라서 당장 양산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

  프로토타입을 거쳐 세아트 레온 트윈 드라이브 최종 출시시기는 2014년에 예정되어 있으며. 집에서 전기를 충전할수 있는 플러그인 충전 시스템 또한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엔진이 전혀 필요없는 순수한 전기차 또한 양산할 것이라고 한다.

  세아트는 앞으로 출시되는 모든 차량모델에서 가솔린 또는 디젤엔진에 전기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선보인다고 한다. 친한경 마인드가 부가된 레온 트윈 드라이브 이코모티브 프로토타입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근처에 있는 마토웰 세아트 테크니컬 센터에서 선보였다.


  세아트 레온 트윈 드라이브는 초저배기가스와 일반모델에 비해 월등히 높은연비를 자랑하며 스페인 산업부 장관인 미구엘 세바스찬과 카탈로니아 지역 정부 관계자들에게 공개하여 친환경 자동차로 극찬을 받았다.

  세아트의 트윈드라이브 시스템은 타 자동차 메이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처럼 시내주행시 가솔린 또는 디젤연료의 큰 연비절감 효과를 볼 것이며 특히 미래의 세아트 이코모티브 모델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하여 엔진동력이 필요없이 순수하게 전기구동력으로만 차를 달릴 것이라고  한다.

  세아트 트윈 드라이브 시스템에 들어갈 배터리는 47마력의 출력을 내뿜는 리튬이온 배터리이며 배터리 힘만으로 50km거리를 주행가능하며 최고속도 100킬로까지 낼수 있다. 즉 배터리 힘만으로는 항속거리가 너무 짧고 최고속도 또한 낮다.

47마력의 힘을 내는 리튬이온 배터리

  그래서 배터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폭스바겐에서 가져온 배기량 1.9리터의 터보 디젤 엔진과 짝을 이룬다. 또한 고속주행시에도 저알피엠으로 주행이 가능한 광범위한 기어비를 가진 기어박스와 배터리 예열 and 발열 시스템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하이브리드카의 최대 관심은 바로 연비. 세아트 트윈 드라이브 이코모티브 모델은 100킬로미터 주행시 겨우 3.7리터의 연료만을 소모하며(리터당 27킬로미터 주행) 높은 연비만큼 매우 낮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자랑한다.

  세아트 레온 트윈 드라이브 이코모티브 모델에 이어 곧 출시되는 레온의 아랫급 모델 세아트 올뉴 이비자 이코모티브 모델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8g/km를 자랑하며 유럽에서 측정한 시내+교외 주행연비가 갤론당 76.3마일(리터당32.5킬로미터)을 주행할수 있으며 시외주행만 할 경우 무려 갤론당 94.2마일(리터당40.1킬로미터)를 주행할수 있다고 하니 돈없는 백수가 아닌 이상 기름값 걱정할 필요가 없을것이다.

레온의 뒷모습 47마력의 배터리와 배기량 1.9리터의 TDI엔진과 짝을 이루었다.



PRESS RELEASE

For immediate release
22 January 2009

TWIN DRIVE LEON PROTOTYPE MAKES ITS DEBUT

● SEAT petrol/electric hybrid will use ingenious Twin Drive technology
● Aspiration to develop viable 'plug in' electric powered vehicle
● First Twin Drive SEATs could be in showrooms by 2014

A radical new SEAT, conceived to run on electric power or a conventional petrol engine, has been unveiled in Spain. The green-minded Leon Twin Drive Ecomotive prototype made its debut at the SEAT Technical Centre in Martorell, near Barcelona.

The ultra-low emissions concept was unveiled in front of Spanish Government minister Miguel Sebastian, as well as Catalan and local government representatives. As its name suggests, the innovative Twin Drive concept is being developed to pioneer important advances in hybrid technology.

The initial aim is for Twin Drive-equipped SEATs to run on electricity in urban areas, switching seamlessly to conventional petrol or diesel power for longer trips out of town. So-called 'plug-in' hybrid propulsion, as well as the eventual phasing ou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future Ecomotive models, is also on the agenda for SEAT.

SEAT chairman Erich Schmitt, along with Volkswagen Group Executive Committee member and Chairman of SEAT's Board of Directors, Francisco Garcia Sanz, unveiled the radical Leon prototype.

Mr Garcia Sanz said: 'Half way through the last century we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putting a whole generation on wheels. Today, 50 years on, we also want to be leading players at the beginning of a process of development and industrialisation of this type of car.'

SEAT's ambitious Twin Drive development plan, which stretches to 2014, focuses on creating a whole range of Ecomotive vehicles with exceptional fuel economy and dramatically reduced CO2 emissions.

The car shown at Martorell features an electric motor powered by lithium-ion batteries. There has been extensive modification of the gearbox, brakes, heating and cooling systems, while major changes to the vehicle's electronics have also been carried out.

The prototype will allow engineers at the Spanish brand's state-of-the-art technical centre to research advanced electrical propulsion techniques, battery recharging and vehicle range.

As things stand, of course, SEAT is already at the forefront of low emissions, high economy motoring with models such as the new generation Ibiza Ecomotive, current Leon Ecomotive and Alhambra Ecomotive all leading the way in their respective segments of the market.

The forthcoming new Ibiza Ecomotive, for instance, is capable of 76.3 mpg on the combined cycle (94.2 mpg extra urban), with joint best-in-class CO2 emissions of just 98 g/km.

 


현대 i20은 그동안 유럽에서 호평받았던 현대 클릭의 후속모델로 데뷔하였습니다.


i20은 1.2, 1.4, 1.6리터 가솔린엔진과 1.4,1.6리터 디젤엔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솔린엔진의 최고출력은 각각 78, 100, 126마력의 고출력을 내뿜어서 르노 클리오, 푸조 207, 세아트 이바자, 도요타 야리스등의 타회사 동급경쟁모델의 엔진출력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특히 1.2리터 가솔린엔진 라인업에 새롭게 등장한 현대 카파엔진은 기존 1.1리터 입실론엔진을 대체한 엔진으로 입실론엔진의 단점이었던 느린 가속력과 연비를 크게 개선하였으며 i20의 동생격인 i10에 주력으로 장착되는 엔진입니다.


1.2리터 가솔린엔진 수동모델은 1리터당 19.2킬로미터의 높은 연비를 자랑하고 있으며 1.4리터 가솔린엔진 수동모델 또한17.9킬로미터를 주행할수 있는 효율성을 자랑합니다.(유럽측정연비 기준)




1.4리터 디젤엔진은 저출력 버전은 75마력 고출력 버전은 90마력의 출력을 내뿜으며 1.6리터 디젤엔진은 저출력 버전 115마력 고출력 버전 128마력의 고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1.6리터 디젤엔진은 6단 수동변속기를 장착해서 고속주행시 보다 낮은 rpm으로 주행을 할수 있어서 조용한 정숙성과 높은 연비를 구현하였습니다.




안타깝게도 국내에는 출시할 예정이 없습니다. 다만 제가 i20을 구입한다면 1.4디젤 수동변속기 모델을 구입할 것입니다.


클릭 후속모델답게 차체크기도 기존의 클릭에 비해 조금씩 커졌는데 전장은 클릭보다 115mm길어졌고 전폭은 45mm이 커졌습니다. 




타이어크기또한 클릭에 비해 커지면서 주행안전성과 코너링성능을 높이고 커진 타이어로 인한 고성능 이미지가 가미되면서 i20의 외관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높은연비와 점점 넓은 공간을 선호하는 현재의 자동차시장에서 i20은 소형차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을거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구입할수 없다는건 참으로 너무 아쉽습니다.




이미 서유럽 일부국가에서 팔리고 있는 i20은 영국의 데일리메일모터링에서 1.2가솔린 수동모델 시승기에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차세대 A클래스 플랫폼 기반의 아담하고 귀여운 베이비 로드스터 컨셉을 계획중이라고 한다.

  기존 벤츠 로드스터가 모두 FR구동이었지만 베이비 로드스터는 FF구동이라는점이 다른점. 그래서 시트공간이 형뻘되는 CLK와 비슷한 정도로 시트공간이 넉넉한 편이다.




이 로드스터는 먼저 새롭게 풀체인지되는 차세대 A클래스와 B클래스를 2011년에 선보인 후에 SLA로드스터를 2012년에 데뷔시킬 예정인데 젊은 고객층과 상담을 많이 하는 딜러들에게 큰 인기를 끌것이라고 한다.




SLA로드스터와 예상되는 경쟁모델은 BMW1시리즈 SLA로드스터와 달리 BMW1시리즈는 스몰카임에도 FR구동 플랫폼이다. 그래서 벤츠는 BMW1시리즈와의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 시트공간의 우월성과 편리한 조작성 그리고 경쟁모델과 달리 FF구동 채용으로 인한 높은연비를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다만 경쟁사인 BMW가 이에 대응해서 "SLA로드스터에는 뒷좌석 시트가 없다"라고 마케팅 전략을 펼치면 벤츠도 할말 없겠지만 말이다.




작고 귀여운 SLA로드스터에는 벤츠의 다른 로드스터처럼 AMG버전이 양산될까? 아직은 미정이지만 양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하니 작고 강력한 포켓로켓 로드스터를 지향하는 오너들이라면 기대해 볼만하겠다. 2리터 가솔린엔진에 터보차져 혹은 슈퍼차져를 장착해 경제적이면서도 강력한 파워를 내뿜는다고 한다.





이와는 별도로 SLA로드스터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차세대 벤츠A클래스와 B클래스에도 에너지절감형 모델인 하이브리드와 수소 전기차버전도 선보인다고 한다. 벤츠에서는 A클래스 B클래스 SLA로드스터에 적용되는 FF플랫폼을 샌드위치 플랫폼이라고 명명하였는데 이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계량하면서 연료절약형 위주의 소형차를 계속 개발 양산한다고 한다.



닛산 GT-R 820마력 대응 터보차져킷 출시

닛산 GT-R이 튜닝 애프터마켓 업체들의 끝없는 지원에 힘입어 출력이 나날이 오르고 있다.

그 가운데 SOUTH SIDE PERFORMANCE라는 튜닝업체는 터보킷 업그레이드를 통해 닛산 GT-R의 출력을 무려 820마력까지 끌어올렸다. 공식명칭은 GTR820RR Turbo Upgrade Kit

SOUTH SIDE PERFORMANCE는 닛산 GT-R 35을 지난 몇달동안의 분석과 연구끝에 빠른 응답성과 폭발적인 파워를 내뿜으면서도 장착이 쉬운 820마력을 넘는 터보킷을 도쿄오토살롱에 공개했다.

현재 순정스펙의 GT-R뿐 아니라 전세계에 양산된 슈퍼카를 훨씬 능가하는 파워를 갈망하는 GT-R 35 오너들에게 SOUTH SIDE PERFORMANCE가 내놓은 GTR820RR 터보킷은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것이다.

볼베어링 가레트 트윈터빈과 볼트온 CHRA 오일루브와 워터쿨러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GT-R터빈과 액츄에이터를 업그레이드하는선에서 깔끔하게 튜닝할수 있으면서도 고효율 고출력을 얻을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면 출력을 낮춰 더 빠른 응답성을 얻을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부스트압이 걸리는 RPM을 낮출수 있으면서도 고알피엠까지 부스트가 유지된다.

이 터보킷은 www.GT-RR.com에서 주문할수 있으며 터보 교체 비용은 6499$(우리돈으로 약 850-900만원)이다. 이러한 고출력 터보시스템이 GT-R 35와 결합이 되면 더이상 출력부족으로 인한 갈증은 없을것이며 큰 재미를 선사해 줄것이다.



올해초에 올렸던건데요. 제가 블로그 옮기는 과정에서 다음뷰 발행이 누락되어서 다시 올립니다.


개인적으로 클릭 단종시키고 i20들어오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는데 결국 끝까지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아마 우리나라에 소형 해치백 수요가 없어서일겁니다. 따라서 클릭과 베르나 후속모델은 아마 프로젝트명 RB로 추정되는 후속 소형차가 바통을 이어받으리라 생각됩니다(RB도 우리나라 출시 될지는 미지수라고 합니다)


-----------------------------------------------------------------------------------------------------------


영국의 데일리메일모터링이라는 언론사에서 현대에서 나온 i20 1.2수동모델을 짧게 로드테스트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비교적 좋게 평가를 했습니다만 너무 싸보이는 내장재질과 부족한 엔진성능을 단점으로 꼽았습니다.

앞으로 1.6디젤수동모델도 나온다고 합니다만 영국에서만 판매될 예정이고 다른유럽국가에서는 계획이 없다고 합니다.

현대 i20가솔린 수동 로드테스트

현대 i20 1.2가솔린 수동은 좁은곳에서도 뛰어놀수 있는 기동성을 갖추고 있지만 시속 60마일을 넘겨도 차가 힘겨워하는 기색이 보인다.

저렴하다. 당신의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더라도 낮은 가격으로 인해 이차를 구입하는데 큰 부담이 되지 않고 연비가 좋아서 기름값 부담도 적으며 운전재미요소도 가미되어 있다. 한국자동차회사에서 기획된 i20은 디자인은 독일에서 담당했고 그러나 생산은 인도에서 하는것이 흠이다.

수납공간이 다양하고 자라나는 아이를 가진 가족들을 위한 작은 패밀리카로 쓸수 있으며 특히 i20은 디젤모델은 영국에서 동종의 B세그먼트 차들중에서도 13퍼센트정도 주행세를 적게 지불할수 있다.

하찮은 자동차로 보이겠지만 어느곳에서든 통행이 가능하다.

발랄한 겉모습과는 다르게 시내도로에서 편한히 주행할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달릴수 있어 보이는 헤드라이트와 한쌍의 깨끗한 휠은 영국의 드라이버들을 놀라게 할것이다. 그러나 i20은 과감한 시도는 하지않았다. i20 시내한바퀴를 둘러봤자 6펜스은화의 가치취급을 받을것이다.

i20은 아이들이 타기에는 충분한 뒷좌석 공간과 여유로운 헤드룸을 제공한다.

i20은 평균적으로 54마일 시내에서는 44마일을 주행할수 있으며 교외에서는 62.8마일의 거리주행이 가능하다.(디젤모델은 74마일까지 주행할수 있다.)

에어컨, 전 측면 6개의 에어백, 중앙집중식 도어락, 앞좌석 파워윈도우 옵션은 기본이고 구입한지 5년까지 기본 마일리지 워런티를 보장해준다.

기본형 모델인 i20 1.2리터 3도어 가격은 8195파운드부터 시작하며 중간급 모델인 1.2리터 페트롤 모델은 8995파운드로 책정되었고 여기에는 15인치 휠과 뒷좌석 파워윈도우 아이팟을 지원하며 핸들 오디오 리모콘이 옵션으로 포함되어 있다.

11845파운드를 지불하면 1.4리터 CRDI 디젤모델을 구입할수 있으며 'Style'트림 한가지로만 구성되었고, 118g/km CO2만 배출하는 친환경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아웃사이드미러는 실내에서 레버로 조정할수 있으며, 수동으로 미러 포지션을 맞출수 있다. 몇몇사람들은 그러한 사이드미러 조작방식이 하찮게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심플하고 사랑스러워 보이니 단점이 될수는 없다.

대쉬보드에 위치한 스위치등을 쉽게 찾을수 있다.

i20은 현대 겟츠(클릭)을 대체할 것이며 겟츠보다 높이는 낮아졌지만 차체는 더 길어지고 더 넓어졌다.

단점

너무 아래쪽에 위치한 아웃사이드미러 레버로 인해 때로는 레버를 찾기 위해 헤멜수도 있을것이다.

언덕을 올라갈때 60마일을 넘기려면 다운쉬프트를 해야할것이다.

쇼핑을 보고 짐을 넣을때 리어시트를 폴딩하지 않는한 트렁크가 항상 꽉 차서 공간적 여유가 없을것이다.

전트림이 모두 실내가 약해서 깨지기 쉬워보이는 싸구려 플라스틱으로 내장되어 있다.

고속주행시에는 엑셀레이터를 밟아도 차가 헐떡거리지만 원하는 속도에는 도달할수 있으며 최고속도 103마일 0-62마일까지 12.9초가 걸린다.

1.6디젤수동모델은 65.7마일을 달릴수 있으며 영국에서는 시판되지만 그외의 유럽국가에서는 시판계획이 없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