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SM6 오너들이 AM링크를 버린다? 그것도 돈주고 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영상 보시면 나옵니다.
르노삼성 SM6의 가장 큰 단점은 경쟁 모델인 쏘나타 K5 말리부보다 실내공간 좁고 승차감 딱딱한 편입니다. 이건 제가 평가한 것이 아닌 실제 오너들의 평가입니다.
이 모델의 후륜 서스펜션은 멀티링크가 아닌 토션빔인데요. 그것도 AM링크라는 독특한 토션빔 서스펜션을 적용했습니다. 그런데 이 AM링크가 장착된 SM6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승차감이 너무 안좋다는 겁니다. 솔직히 승차감만 따지면 아랫급 모델인 아반떼 K3보다도 못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2016년 출시한 르노삼성 SM6는 2020년 7월 SM6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면서 기존 오너들이 후륜서스펜션에 적용된 AM링크를 탈거하기 시작했습니다. 정확히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탑재된 후륜서스펜션으로 바꾸고 있는데요. 왜 오너들은 돈주고 AM링크를 버릴까요?
그리고 르노삼성 SM6 구형은 구조적인 결함이 있습니다. 바로 AM링크 안에 있는 고무부싱 내구성이 너무나 짧다는 문제인데요.
저 고무부싱이 짧은 시간에 손상되는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충격 흡수와 롤링 바운싱 억제 역할을 하는 쇽업쇼버의 충격을 쇼버 하단의 고무부싱이 다 받아주면서 수명이 다른 부싱보다 짧아진듯 합니다.
실제로 쏘나타나 K5 말리부는 쇽업쇼버 하단에 저런 부싱이 없습니다. AM링크 설계 의도가 뭘까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SM6 오너분께서는 페이스리프트모델 후륜서스펜션 적용 후 만족한다고 합니다. 만약 구형 SM6 오너분 중에서 편한 승차감 확보하고 싶다면 페이스리프트모델 후륜서스펜션으로 바꾸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제가 안전속도 5030 제도를 손본다는 윤석열 후보 공약을 찬성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안전속도 5030 취지 자체는 공감합니다만 굳이 속도를 낮추지 않아도 될 도로 구간에서 필요 이상 제한속도를 낮춘 구간도 많기 때문입니다.
안전속도 5030 시행 이후 확실히 보행자와의 교통사고율이 낮아지고 사망자도 줄었다고 합니다. 자동차의 바디강성이 증대되고 긴급제동 등 사고를 회피하는 안전장비가 많이 탑재되면서 자동차 등 탈것의 안전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맨몸은 과거나 현재나 똑같습니다.
사람의 뼈가 강철보다 더 단단하지도 않고 사람의 피부가 악어보다 더 딱딱하진 않죠.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교통사고를 당하면 생존율은 높지만 보행자는 예나 지금이나 사고시 부상위험과 사망율이 높습니다.
그런데도 제가 윤석열 당선인의 정책을 지지하는 이유는 현재의 안전속도 5030 정책이 탁상행정이라고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