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자동차업체 현대자동차는 더욱 차별화된 고객 감동 서비스로 고객 존중 경영을 본격화한다.


현대자동차(회장 정몽구)는 신차 구매 후 1년 동안 차량사고시 새 차로 교환해주는 등 차량사고에 대한 손실을 보장해주는 ‘신차 교환 서비스’를 이 달부터 5월 말까지 3개월간 실시한다고 7일(일) 밝혔다.


‘신차 교환 서비스’는 특장차, 영업용 등록차량을 제외한 승용, RV, 소형상용 전차종 구매 고객 중 현대캐피탈 자동차 할부금융 상품 이용고객에 대해 신차 구매 후 1년 동안 차량사고에 대해 손실을 보장해주는 현대차만의 차별화된 고객 만족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가입고객은 신차 구매 후 1년 동안 자기 과실이 50% 이하인 차대차 사고로 인해, 차량의 수리비(공임 포함)가 차량 가격의 30% 이상 발생시, 1회에 한하여 수리된 차량을 신차로 교환 받을 수 있다.


아울러, 고객의 경제적인 손실을 고려해 신차 교환 대상으로 확정되는 경우, 교통사고 위로금 100만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다만, 구매자 본인 또는 배우자 및 자녀가 운전한 경우에 한해 지급된다.


현대차는 지난 해에도 일부 차종에 대해 BLU멤버스를 가입한 현대차 재구매 고객 중 정상 할부 및 현대캐피탈 오토론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신차 구매 후 1년 동안 차량사고에 대한 손실을 보장해주는 ‘한국형 어슈어런스 프로그램’을 선보인 바 있다.


현대차는 일부 차종에 대해서만 실시했던 ‘한국형 어슈어런스 프로그램’을 승용, RV, 소형상용 전 차종 및 신규 구매고객까지 확대 실시함으로써 차량 사고로 인해 중고차 가치 하락과 같은 금전적 손실과 이에 따른 심적 스트레스까지 보상받을 수 있는 혜택을 보다 많은 고객들이 누릴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신차 교환 서비스는 고객 존중 경영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라며, “그 동안의 제품 워런티, 비포서비스 등 기존 일반적인 정비개념의 서비스 영역을 넘어서 고객들의 감성적인 부분까지 배려하는 차별화된 보장 서비스”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에는 신차교환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찾아가는 비포서비스, 중고차 가치 보장서비스 등을 재정비하고, 구입단계부터 차량 사후 관리까지 현대차만의 특화된 신개념 서비스를 한층 강화해 현대차에 대한 로열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따뜻한 봄이 시작되는 3월 아마 새봄을 맞이하여 대청소 및 목욕재개를 하는 사람들이 많을거야 나 또한 묵은 엔진오일을 제거하고 새 엔진오일을 교체하기 위해 GM대우 정비소에 가기로 했어


나의 주인인 레드존은 내 몸에 있는 엔진오일을 처음 2000km에 교체하고 그다음에는 6000km, 세번째는 12000km에 교체할 예정이래 그리고 처음 엔진오일 교환시에는 순정엔진오일로 교체할거고 그 뒤에는 사제합성유로 교체할지 아니면 순정으로 그대로 유지할지는 나중에 판단하겠다고 해




아무튼 3월2일 오후에 레드존과 나는 GM대우 시흥정비센터로 갔어 거기서 엔진오일을 교체하기 위해서지




정비센터 데스크에 엔진오일 교체하러 간다니까 안내직원이 잠시 대기하라고 했어 그리고 10분뒤에 정비소 직원이  
차를 가지고 정비센터로 들어갔어




정비센터에 가면 어떻냐고? 솔직히 무서워 왜 꼬마아이가 병원갈때 주사맞기 싫어서 병원가기 싫은거랑 비슷한 심리야 엔진오일 교체하는 간단한 경정비이지만 나의 심장을 순환하는 오일을 빼기 위해 엔진오일필터를 빼내고 마개를 빼야 하는데 은근히 아프지^^; 음 무생물인 내가 아프다고 말하니까 좀 웃긴가......




아무튼 정비센터에서 엔진오일을 빼는동안 레드존은 카메라를 가지고 내 몸 구석구석 살표보았지 이런 변태주인 ㅡ.ㅡ+ 내몸 어디가 좋다고 뚫어지게 쳐다봐 ㅉㅉㅉ




아무튼 레드존이 내몸 구석구석을 보면서 사진을 찍었어 우씨 나는 보여주기 싫은데 레드존이 보여주고 싶다고 하니 함 감상해봐


나의 뒷모습 밑부분이야 뒤쪽 서스펜션은 전형적인 토션빔이지 경제성을 중시하는 경차인걸 생각하면 당연히 토션빔이어야 하지 않겠어?


하부 밑부분을 만져보면 우둘투둘한 돌기가 느껴질거야 그건 언더코팅인데 차체부식을 방지하는 것이얌....


이것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중간머플러 즉 중통이라고 하지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경차라서 그런지 배기방열판이 중통부분만 되어있는데 음 조금 아쉽긴 하다.


엔진오일팬 드레인 코크를 풀어 묵은 엔진오일을 빼네는 모습


엔진오일팬을 확대해서 찍은것이얌


나의 심장 즉 사람들이 말하는 엔진의 내부모습이지 점화케이블방식이고 4기통 DOHC엔진이야.


새 엔진오일을 주입하고 있어 요즘은 엔진오일통으로 직접 주입하지 않고 기계로 정확히 주입하는데 통으로 직접 넣는것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지 여기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GM대우 사업소와 바로정비코너가 이런장비를 기본으로 구비하고 있어 그러니 정확한 처방 및 순정부품 교환을 원한다면 가까운 카센타보다는 GM대우 사업소나 바로정비코너로 가는것이 훨씬좋아.


엔진오일 모두 교체하고 정비코너를 빠져나가는 내모습


엔진오일 교체완료하고 외출준비를 하고 있는 내모습이얌


참고로 레드존이 그러는데 에어필터크리너는 수명이 10000km이상 되니까 출고한지 2000km 갓 넘은 나한테는 굳이 교체할 필요가 없다고 해.


총 비용은 26000원 들었네 생각보다는 저렴한 편이지?


엔진오일 교체후 돌아오는 길에 주유를 했어


총 주행거리 2204km 구간주행거리 430km 주유량은 28.33L가 되었어




이번연비는 리터당 15.2km/l로 계산되었네 이번주행거리 네네 길들인답시고 레드존이 좀 과격하게 운전했는데 그때문인지 연비가 제대로 나오지 않은거 같아 당분간 연비는 신경쓰지 않고 다닐거래




3월2일 일기는 이만 줄일께 너무 피곤하다.


3월2일 주행시작거리는 2195km, 주행종료거리는 2216km라고 떳어.



우리나라 자동차시장에서 파이가 가장 큰 세그먼트는 단연 2000cc중형차시장일겁니다.


2000cc 중형차는 오래전부터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자동차시장으로 그중에서 단연 독보적인 차량은 현대자동차의 쏘나타와 르노삼성자동차의 SM5시리즈입니다.


영원한 중형차의 맞수인 두 라이벌인 쏘나타와 SM5는 각각 작년 하반기와 올해초 6세대 쏘나타와 3세대 SM5로 풀모델체인지된 신모델을 출시하면서 두 라이벌 차종의 경쟁구도는 더욱 강해졌습니다.


특히 2월 들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고 경쟁이 심한 두 차종을 비교하는 비교시승기가 온라인 매체를 중심으로 속속 올라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저희 KABA(한국자동차블로거연합)또한 YF쏘나타와 NewSM5를 비교시승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비교시승해보니 예상외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저는 지난주에 YF쏘나타와 NewSM5 비교연비테스트를 올렸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두 차량의 가속력에 대한 소감을 간단히 언급하겠습니다.


참고로 YF쏘나타와 NewSM5의 정확한 비교시승기를 원하신다면 거꾸로 보는 백미러님이 작성하신 비교시승기(http://100mirror.com/712), 카앤드라이빙님이 작성하신 비교시승기(http://www.caranddriving.net/1943) 를 보시면 됩니다.


1, 차량상태


먼저 NewSM5는 RE풀옵션 모델이며 주행거리는 4000km정도 달린 차량입니다. 그리고 YF쏘나타는 Prime고급형 모델로 중하급 옵션이 들어간 모델이며 주행거리는 9500km을 약간 넘긴 상태입니다.


NewSM5는 공차중량이 1470kg입니다. 최고출력은 141마력입니다. 최대토크는 19.8kg.m으로 평범한 수준입니다.그리고 풀옵션 모델인데다 파노라마선루프가 장착되어서 실제무게는 이보다 좀더 무거울것으로 생각됩니다.


YF쏘나타는 옵션이 적은 모델이며 파노라마선루프가 없습니다. 게다가 공차중량이 1410kg으로 NewSM5보다 60kg이 가볍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력도 NewSM5보다 높아 최고출력이 165마력 최대토크 20.2kg.m으로 출력면에서 NewSM5보다 무려 24마력이나 앞서 있습니다.


24마력이라는 출력 차이는 결코 적은것이 아닙니다. 배기량 300-400cc정도의 차이가 나는 수치입니다.


NewSM5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서 개발한 CVT미션, YF는 6단 오토미션이 엔진과 짝을 맞추고 있습니다.


2, 드래그 결과


두대의 차량을 드래그해보았습니다. 드래그 방식은 교차로에서 신호등이 파란불로 바뀌는 순간 출발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두 차량에 각각 성인2명씩 타고 있었습니다.


그럼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당연히 24마력이 높고 공차중량이 가벼운 YF쏘나타가 더 빠릅니다만 큰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YF는 D모드에서 풀가속했으며 NewSM5는 처음에는 수동모드에 놓았다가 어느정도 속도가 붙은 뒤에 D모드로 레버를 바꾸었습니다.


총 세번정도 했는데 조금씩 결과는 틀리지만 평균적으로 NewSM5와 YF쏘나타의 거리차이는 1대도 나지 않았습니다.


왜 NewSM5의 가속력이 뛰어난걸까?


NewSM5는 아시다시피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서 개발한 무단변속기(CVT)가 적용되었습니다.


현재 기함인 SM7을 제외한 나머지 가솔린엔진 차량에 무단변속기인 CVT가 장착이 된 상태이며 르노삼성 뿐만 아니라 닛산 알티마, 르노 메간느등 닛산과 르노의 차량에서도 CVT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NewSM5의 엔진과 짝을 이루는 CVT는 동력전달 방식에 따라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두개의 레이스 사이에 수직으로 롤러를 배치하여 롤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회전비가 달라지면서 동력이 전달되는 토로이달식 CVT, 또하나는 금속벨트 또는 고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르노-닛산은 두가지 모두를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는 토로이달방식 CVT애니메이션입니다.




유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오토미션과 달리 CVT미션은 물리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이론상 동력손실이 제로입니다. 또한 스로틀 개도량 및 주행환경에 맞게 최적의 기어비를 제공하기때문에 급가속시 최고출력이 나오는 rpm에 고정한채 가속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가 작년에 닛산 알티마를 가지고 드리프트박스라는 측정기계로 제로백을 측정한적이 있습니다. 아래사진은 그 결과표입니다.




한번은 수동모드, 또 한번은 D레인지에 놓고 가속했는데 특이한것은 시속 80km/h까지는 수동모드에 놓고 가속하는것이 더 빨랐으며 그 이후는 D레인지에 놓고 가속하는것이 더 빨랐습니다.


NewSM5를 운전했었던 드라이버가 예전부터 옵티마CVT를 자주 타면서 드래그시 최적의 가속력을 얻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수동모드에 놓고 가속하다가 나중에 D레인지로 레버체인지하는것이 가장 빠른 기록을 가진다고 하던데 실제로 그렇게 달려보니 NewSM5는 YF쏘나타와 거의 나란히 달렸습니다.


NewSM5와 YF쏘나타를 가지고 가속력 측정한 횟수가 적은 편이어서 이번 측정결과가 100% 맞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NewSM5의 가속력이 항간에 알려진것처럼 크게 나쁜편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평균이상은 되리라 예상됩니다.



현재 스위스 제네바에서 성황리에 열리고 있는 제네바 모터쇼에서는 작은 고추가 맵다. 라는것을 실감할수 있는 피아트의 고성능 국민차를 볼수 있을것이다.




파이트의 고성능 모델을 담당하는 Abarth는 피아트500의 초고성능모델인 Abarth Punto EVO, 그리고 고성능 소프트탑 오픈모델인 Abarth 500C 두 모델을 공개했다.


500C는 소프트탑 오픈카 모델이며 소프트탑 루프를 열어젖히고 오픈에어링을 즐길수 있는 미니카이다.




바디칼라는 흑백투톤이며 파워트레인은 1.4L 가솔린 터보엔진이 장착된다. 최고출력은 138마력 최대토크는 21kg.m으로 작고 가벼운 500C의 바디를 매우 가뿐하게 움직여준다. 0-100km/h까지 걸리는 시간도 불과 8.1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연비는 미국기준으로 1리터에 15.4km/l를 갈수 있는 뛰어난 효율성도 보여준다.




다음 소개할 모델은 Abarth의 탑 퍼포먼스 모델인 Punto EVO, 화이트 칼라바디에 정열적인 빨간 레드라인 투톤으로 마감한 이 고성능모델은 500C와 엔진이 비슷하지만 500C보다도 출력을 더 높여 최고출력 162마력, 최대토크 25.5kg.m의 강력한 파워를 내뿜는다. 특히 SS트림을 선택하면 출력이 16마력 더 높은 178마력의 매우 강력한 파워를 선사한다.


Abarth 500 Punto EVO는 외관도 차별화 하였는데 더 커진 프론트 범퍼와, 새롭게 디자인된 리어범퍼가 추가되었으며 트윈 배기 머플러를 장착하고 리어 디퓨저를 새롭게 디자인했다. SS트림의 경우 고성능이미지를 부각시키는 18인치 대구경휠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안녕하세요. 레드존입니다.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다이어리 솔직히 어떠셨는지요? 제가 글재주가 없는 편이라 처음에 다이어리 쓸때 퇴고 여러번 하며 머리를 싸매면서 다이어리를 작성했습니다.


다이어리를 쓴 목적은 단 하나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모든 정보를 독자분들께 최대한 쉽게 알려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제가 한달전 GM대우에서 롱텀테스트용으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를 받아서 현재 딱 한달이 되었습니다. 2월4일 처음 받을때 총주행거리계가 겨우 8km에 불과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현재 2400km을 넘긴 상태입니다.


처음 출고받았을 때 주행거리는 겨우 8km뿐이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경차의 절대적인 기준은 뭐니뭐니해도 경제성이죠. 경차가 디자인이 아무리 좋고 안전성이 좋아도 경제성이 떨어지면 그것은 경차라고 보기 힘들겠죠.


처음 차를 받은 2월4일부터 2월28일까지 2월 한달동안 총3번의 주유를 하였습니다. 보다 더 정확한 연비계산을 위해 주유시 항상 가득주유를 하고 있으며 주행거리를 가득 주유된 연료량을 나누어 연비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저는 길들이기를 이렇게 설정했습니다.


총주행거리 1000km까지는 rpm을 3000rpm까지만 사용하며 엑셀레이터 페달 또한 1/10정도로 최대한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고 부드럽게 주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대구 내려갈때 딱 한번 실수로 3500rpm까지 순간적으로 올라갔었던거 빼고는 3000rpm이하로 유지하면서 달렸습니다.


1000km부터 2000km까지는 rpm을 4000rpm까지 올리며 도로소통이 원활할때 4000rpm까지 가끔 밟아주었습니다. 

 
2월 첫째주에는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를 받아온 2월4일과 혼다 시빅을 시승했었던 2월6일에 주행을 하였습니다. 총 주행거리는 246km까지 올라갔습니다.




2월 둘째주에는 처음 장거리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설날을 앞두고 2월11일부터 2월13일까지 2박3일동안 서울-대구를 왕복하였는데 이때 실제연비가 리터당 16.7km/l으로 약간 기대이하의 연비가 나왔습니다. 총 주행거리는 1082km까지 올라갔으며 서울로 돌아오면서 총 주행거리 1000km을 돌파했습니다.




총주행거리 1000km에 도달할때 찍은 사진


2월 셋째주 토요일에는 출고된지 처음으로 세차를 하였습니다. 사정상 외부세차만 하였는데 세차장 거품솔을 쓰지 않고 스폰지만 사용했습니다. 2월 셋째주 총 주행거리는 1500km까지 올라갔습니다.




처음 하는 세차라 잔기스를 최대한 내지 않으려고 거품솔 대신 스폰지와 카샴푸를 사용했습니다.




2월 넷째주에는 총 주행거리 2000km을 돌파했으며 2월 넷째주까지 총 주행거리는 2173km입니다. 2000km넘어서면서 간간히 5000rpm까지 쓰며 막바지 길들이기를 하였습니다.




2월 한달동안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에 사용된 비용을 보면 총4번 주유를 하여 196000원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총 주유된 연료는 118리터 정도입니다.
 



또한 통행비용으로 17300원 세차비용 3000원을 지불했습니다.




3월에는 2월보다 주행거리가 더 많아질것으로 예상됩니다. 길들이기가 끝난 만큼 본격적으로 마티즈에 대한 모든것을 포스팅할 것이라서 한달에 3000-4000km정도 주행할것입니다.


이것으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2월 결산을 마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