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 사진은 쉐보레스파크 에어백 위치 및 센서입니다.
6번의 SDM은 쉽게 말하면 에어백의 ECU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충돌시 앞쪽이 충격을 먹으면 센서가 그 충격을 감지해 SDM에 의해 운전석 혹은 조수석에어백이 전개됩니다. 참고로 안전도를 중시하는 북미차량이나 고급세단의 경우 이 SDM이 한개만 있지 않고 보조 SDM이 달려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네시스의 경우 기본사양부터 에어백이 전부 갖춰진걸로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조립시 센서등이 빠지는등 조립불량 자체로 인해 에어백이 미전개되었을 확률은 거의 0%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제네시스에 적용된 SDM문제라 생각되는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레드존의 자동차 이야기 > 레드존의 자동차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보레 크루즈 미션리콜카페 모임 다녀왔습니다. (9) | 2011.06.14 |
---|---|
에어백 터질때 안터진다면? (13) | 2011.06.03 |
MBC 9시 뉴스데스크에 나온 제네시스 에어백 미전개 사고 운전자 사망뉴스를 보며...... (4) | 2011.06.02 |
고전적인 디자인으로 대한민국 보수층에 어필하고 있는 체어맨H 뉴 클래식 (9) | 2011.05.29 |
새차 K5, 쏘나타 하이브리드 VS 중고차 프리우스 (3) | 2011.05.26 |
올뉴모닝 터보 국내에서도 출시되어야 한다. (7) | 2011.03.29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솔직히 원인보다는 현대차의 마인드에 정말 경악할 수 밖에 없네요.
그 자랑하던 럭져리 제네시스가 저 모양 저 꼴이면 다른 차들은 도대체 어떨까요?
앞으로 전 현대차는 아웃오브안중입니다.
기업은 원래 이윤을 극대화하는 조직이라지만 좀 심했죠......
현대차를 안사길 잘했다는 확신이 듭니다. 5천만원 이상씩 주고 왜 현대차를 사시는지...
오래탈거면 쉐보레나 르노삼성이 낫겠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