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DNA 백신 회사인 자이더스 캐딜라는 코로나19에 대한 플라스미드 DNA 백신인 ZyCoV-D에 대해 긴급 사용 승인(EUA)을 신청했습니다.

ANI 통신에 따르면 인도는 자국 제약회사 자이더스 캐딜라 무바늘 코로나19 백신이 빠르면 이번주 긴급사용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자이더스캐딜라의 ZyCoV-D는 인도에서 6번째 백신으로 승인되게 됩니다.

자이더스 캐딜라는 긴급승인 후 1년에 최대 1200만회의 백신을 제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회사는 인도의 50여개 센터에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최대 규모의 임상 시험을 수행했고 그 결과 예방률 66.6%라는 결과값을 얻었습니다. 특히 이 백신은 3번 접종하는데 3번 접종후 코로나19에 감염되어도 중증 이상 진행된 경우가 전혀 없었다고 합니다.

다만 자이더스 캐딜라는 연간 1200만회에 불과한 생산량 때문에 수출은 하지 않고 인도 내수용으로만 쓰일 듯 합니다. 

이 회사가 제넥신과 관련있냐라고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관련성은 전혀 없습니다. 다만 공통점이 하나 있다면 제넥신과 자이더스 캐딜라는 플라스미드 DNA 백신을 개발 생산하는 업체죠.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중에서 아직 DNA 백신이 상용화된 사례는 없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식 백신과 비교해 검증이 안 되었고 특히 중화항체 값이 낮아 DNA 백신을 불신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데요.

다만 자이더스 캐딜라가 인도에서 긴급 승인 받게 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DNA 백신을 개발하는 제넥신을 포함 진원생명과학도 호재로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제넥신 주주분들 조금만 더 힘내세요.

 

#제넥신

#자이더스캐딜라

#DNA백신

#코로나19백신

 

문재인 정부가 내년 상반기에 출시할 국산 코로나 19 백신 1호는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으로 만들어진 백신입니다.

 

단백질 합성 항원으로 만들어진 백신에 대해서는 위 영상을 재생하면 바로 나옵니다. 여기서는 왜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이 좋은지 3가지 이유를 들어 작성해 보겠습니다,

 

1. 유통이 편리하다.

 

 

지난해 화이자와 모더나가 3상 결과를 발표했을때 나왔던 용어가 바로 콜드체인입니다. 저온유통체계라는 뜻을 가진 콜드체인은 별거 아닌 것처럼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영하 20도 이하를 유지해야 하고 화이자는 영하70도 아래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래서 화이자 모더나 같은 mRNA 백신은 유통할때 초저온으로 유통해야 백신의 효능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상온에 한번이라도 노출되면 사실상 백신 효과는 무용지물이 되는 셈이죠.

 

바이러스벡터 방식 백신은 mRNA 백신과 비교해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도 보관이 가능합니다만 그래도 영상 8도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 백신도 영상 20도 상온에 노출되면 효능이 사실상 없어집니다.

 

반면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은 영상 15-20도 상온에서도 보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저소득 개발도상국에 유통해도 콜드체인 등의 부담이 적습니다.

 

2. 안전성이 mRNA, 바이러스벡터 방식 백신보다 좋다. 

 

 

무엇보다도 두 방식은 혈전이나 심근염 등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은 두 방식에 비해 오래된 제조 방식인데요. 알려진 부작용도 두 방식과 비교하면 빈도가 낮고 심근염이나 혈전 등의 부작용 사례도 거의 없습니다.

 

다만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으로 제조된 노바백스의 경우 중증 사례가 없지는 않습니다. 숨 가쁨과 부정맥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이 백신도 아주 안전하다고는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3. 생산효율성 높고 단가 저렴

 

mRNA, 바이러스벡터 방식은 제조 과정에서 항원이 되는 다량의 바이러스를 증식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제조 단가도 높습니다. 

 

사실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도 과거에는 생산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는 단점이 있는데요. 최근 곤충의 세포를 활용해 생산 시간을 크게 단축시켰습니다. 국내 도입하는 노바벡스도 나방 세포를 활용했고요. 바이러스 자체가 아닌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mRNA 방식이나 바이러스벡터방식과 비교해 생산다가가 저렴하고 생산효율성이 높다고 할 수 있죠.

 

이렇듯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은 3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에 국산 코로나19 백신으로 손색이 없다고 봅니다. mRNA 방식도 좋지만 mRNA 방식 핵심 기술은 특허가 걸려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다고 해도 핵심 기술은 특허료를 내야 할겁니다.

 

실제로 화이자모더나도 mRNA 기술을 자체 개발한것이 아니고 다른 기업에 특허료를 꼬박꼬박 지불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은 핵심기술 특허료가 없습니다. 물론 SK바이오사이언스의 경우 노바벡스 백신 생산할때 기술료를 지불해야 하지만 이건 특허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 외에 가장 안전성이 좋다고 알려진 DNA 방식 백신도 정부가 의욕적으로 개발 지원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mRNA와 바이러스벡터 단백질 합성 항원 방식과 다르게 DNA 백신은 아직 인체용으로 상용화된 백신이 없습니다.

 

따라서 검증이 필요하지만 다르게 생각하자면 누구도 진출하지 않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지요.

 

그래서 DNA 백신을 개발하는 제넥신 진원생명과학에도 투자를 많이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코로나19백신

#단백질합성항원백신

#SK바이오사이언스

#mRNA

#백신부작용

 

 

 

예상했던 거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는 RNA 손상으로 인해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바이러스변이가 많고 이는 곧 코로나19 백신의 대응 능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 돌기를 중화하는 중화항체 위주로 개발된 백신은 변이바이러스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보라~ 화이자 접종률이 가장 높은 이스라엘은 한때 확진자수 하루에 10명 이하로 낮췄지만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하루확진자수가 다시 1000명이 넘어갔다.

 

미국 또한 마찬가지로 확진자수가 다시 하루 10만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뭐 한 달 가까이 확진자수 1000명이 넘는 상황...백신 접종 완료해도 감염되는 이른바 돌파 감염 사례도 크게 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나오는 백신들은 무엇이 부족할까? 바로 T세포가 부족해서이다. 

 

우리나라도 백신 평가할때 중화항체를 우선적으로 보고  T세포를 소홀히하는데 이제부터라도  T세포에 대한 평가를 바꿔야 한다고 본다.

 

#코로나19백신

#화이자

#모더나

#T세포

 

청해부대는 해적들이 들끓는 아프리카 소말리아 지역 바다에서 상선들을 보호하고 해적들을 감시 소탕하는 임무를 담당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소말리아는 아주 멀죠. 기후도 달라서 소말리아 앞바다는 우리나라와 다르게 매우 덥고 습합니다.

 

그런데 최근 청해부대원 90%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하죠 이들은 청해부대 34진으로 올해 2월초에 파병을 갔다고 합니다. 2월이면 아마 백신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직전이니 아마 접종을 하기 쉽지 않았을텐데요.

 

하지만 한번 파병하면 최소 몇개월이상 해외에 있어야 하고 그것도 망망대해 바다에서 임무를 수행해야할 부대원들을 미리 접종하지 못한건 군과 국방부 그리고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봅니다.

 

다만 저는 파병 중간에 백신 접종하는건 쉽지 않았을거라 생각됩니다. 청해부대가 파병한 소말리아 지역은 우리나라보다 감염이 더 심하면 심하지 덜하진 않을거라 봅니다. 

 

 

우리가 현재 맞고 있는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그리고 얀센인데요. 이들 백신의 공통점은 낮은 온도에 보관을 해야 합니다. 영상 25도 이상의 상온에서는 효과가 없어져 맹물에 불과하죠.

 

군함 내부 아니면 군함에 물자를 수송하는 항공기 등에 냉장고나 냉동고 설치하면 문제 없을거라 생각하실수도 있겠지만 항상 일정하게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특수냉장시설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걸 수송하는게 쉽지 않다네요. 현지에서 백신 조달하는것도 쉽지 않았을 겁니다.

 

제 생각이긴 한데 날씨가 더우면서도 특수냉장 냉동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여건에서는 기존 백신이 아닌 영상 25도 이상 상온에서도 장기간 보관 가능한 DNA 백신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 개발중인 자이더스 캐딜라라는 제약사의 DNA 백신은 영상 25도 기준으로 3개월 이상 보관이 가능하며 약효도 유지됩니다. 별도 냉장 시설이 있어야 하는 기존 백신과 비교하면 획기적이죠.

 

따라서 우리나라도 mRNA나 단백질 합성항원, 그리고 바이러스벡터 등의 방식과 함께 DNA 백신도 개발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이맘때까지만 백신 개발하는데 총력 지원하겠다고 공헌했었는데요. 하지만 실상 백신개발 지원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네요. 미국처럼 통크게 백신개발위한 지원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국내 DNA 백신 개발하는 회사는 제넥신, 진원생명과학 두 업체입니다.

 

#청해부대

#청해부대백신

#제넥신

#DNA백신

https://news.v.daum.net/v/20210714094602673

 

제넥신, 전문경영인 체제로..성영철 회장 "연구개발에 집중"

   ≪이 기사는 07월 14일(09:45) 바이오.제약,헬스케어 전문매체 ‘한경바이오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제넥신의 창업주이자 대표이사인 성영철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다. 성 회

news.v.daum.net

 

오늘 제넥신을 이끌어온 성영철 회장이 경영에서 물러난다고 발표했다. 물러나는 이유는 위 기사를 보면 나온다. 미래먹거리 확보 및 제넥신에서 개발하는 코로나19 백신 GX-19N을 끝까지 개발 임상하기 위한 연구에 주력한다고 한다.

 

그리고 기사에는 나오진 않지만 경영에서 물러나는 시점은 오늘내일 당장은 아니고 9월1일에 물러난다고 한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GX-19N 백신 2/3상 임상이 시작된 시점에 경영에서 물러나는걸 두고 주주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는데요. 그럴 수밖에 없는게 제넥신은 2020년 9월 전고점 찍은 이후 주가가 계속 내려가기만 했습니다.

 

다른 백신주의 진원생명과학, 셀리드, 유바이오로직스 등이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본격적으로 상승 랠리를 벌인 것과 정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죠. 혹자는 공매도 때문이라고 하는데 신풍제약의 임상발표전 주가 차트를 보면 공매도 때문만은 아닌듯 합니다.(신풍제약의 경우 피라맥스 임상 전까지 그래도 가파르게 오른적이 있었죠)

지난해까지만 해도 국내 백신 업체 중 가장 빠른 개발 속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변이바이러스 대응 목적으로 갑자기 백신 물질을 변경했고 이로 인해 주식 시장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올해 내내 계속 주가가 하락하기만 했습니다. 수출 실적도 있고 국내 바이오 업체 중에서 현금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자산비중이 9000억원이나 되지만 시장은 계속 외면했죠.

 

여기에 한달전 GX-19N 1상 임상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지만 중화항체 수치가 예상보다 너무 안나와서 실망 매도로 이어졌습니다. 현재 제넥신의 주가는 9만원 언저리에 머무르고 있네요.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본래 제넥신 경영진은 인도네시아 임상 발표하면 주가가 최소 10만원은 넘어갔을거라로 생각했을겁니다. 하지만 실제 주식시장은 발표날에 소폭 상승하고 이후 계속 내려갔죠. 그만큼 제넥신에 대한 불신이 크고 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더군다나 제넥신은 지난해 백신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당초 약속한 일정은 제대로 지키지 않고 개발이 계속 늦어졌습니다. 지난해 이맘때만해도 올해 긴급신청사용승인 하겠다고 호언장담했는데 아직 멀었죠.

 

성영철 회장 입장에서는 한쪽은 경영에 신경써야 하고 한쪽은 백신 등 신약개발에 힘써야 하니 아마 집중이 제대로 안됐을겁니다. 그리고 최근 주주들의 트럭시위로 더더욱 본연 업무인 연구에 집중 못했을거고요.

 

그래서 고민끝에 성영철 회장 본인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백신과 신약 개발에 몰두하기로 방침을 굳힌듯 합니다. 

 

사실 제넥신의 신뢰가 크게 떨어진 상태인데 말이 아닌 결과물로 보여줄려면 경영은 전문경영인에게 맡기고 자신이 가장 잘하는 분야 즉 연구에 매진하는게 더 나은 전략일 수도 있겠죠.

 

이제 제넥신의 운명을 가를 인도네시아 2/3상 임상이 시작됐습니다. 적어도 3달 이상은 이 임상에 매달려야 합니다. 제넥신 측은 빠른 임상을 위해 먼저 예방률부터 발표한다고 합니다. 아마 제넥신측 입장에서도 더 이상 미뤄서 좋을게 없겠죠.

 

저는 이번 성영철 회장의 결정이 잘했다고 봅니다. 

 

#제넥신

#성영철

#코로나19백신

#GX-19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