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에서 정식으로 승인된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얀센 등 4종류입니다. 화이자·모더나는 mRNA방식 아스트라제네카·얀센은 바이러스벡터 방식입니다.

그런데 최근 식약처에서 러시아의 코로나19 백신 코비박을 취급하는 국내업체로부터 사전검토 승인 신청을 받았다고 합니다. 식약처는 이 업체의 사전검토 신청서를 토대로 비임상 자료를 본격적으로 검토한다고 합니다.

코비박은 러시아에서 스푸트니크V 다음으로 승인된 백신입니다. 이 백신은 불활성화백신이며, 바이러스를 증식시킨 후 죽인 항원을 체내에 주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백신이라고도 합니다. 

불활성화 백신은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체내에 주입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방식은 중국 시노백·시노팜 백신과 같은 방식입니다.

다만 이 백신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부족한걸로 압니다. 현재 러시아 외 다른 국가에서는 승인 허가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 백신이 델타변이바이러스에 얼마나 예방률은 보이는지에 대한 데이터도 없는 실정입니다.

 

#불활성화백신

#코로나19백신

#스푸트니크V

#코비박

 

최근 정부와 질병관리청이 잔여백신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30-50세에 해당되는 백신 미접종자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신청을 받고 있는데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저는 말리고 싶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즉 AZ 백신은 젊은층 중심으로 피가 굳어지는 혈전증 부작용이 보고된 백신입니다. 오히려 50세 이상 고연령층에서는 이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의료계 등 전문가들도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아래 도표는 대한의사협회가 보도자료로 발표한 연령층에 따른 부작용 발생 비율입니다.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를 비교한 건데 화이자는 70세 이상 연령에서 부작용이 높았고 아스트라제네카는 69세 이하에서 부작용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30-50세 아스트라제네카 예방 접종은 가능하면 하지 않는게 낫다고 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은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보고되고 있는데요. 태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중국산 백신인 시노백 시노팜보다 아스트라제네카를 더 불신하는 관계로 중국산 백신에 웃돈을 주고 접종하는 웃지못할 상황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잔여 백신 최소화 전략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만...제 생각에는 차라리 70세 이상 고연령층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하고 그 이하 연령은 화이자 혹은 모더나를 접종하는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코로나19

#코로나백신

 

 

https://blog.naver.com/touchchina/222005081179

 

[인민화보]세계 최초의 코로나19 불활성화 백신 언블라인드 결과 발표...1120명 접종자 전원에 항

중국의약(國藥)그룹의 자회사인 중국생물기술(中國生物, CNBG) 산하 우한(武漢)생물제품연구소가 연구...

blog.naver.com

 

지난해 6월 중국 시노백 백신이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불활성화 백신 임상에 성공했다고 한다. 당시 접종자 전원 중화항체가 생성됐고 8월 중국에서 긴급승인되면서 중국은 물론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기도 했다.

 

그런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3113706 

 

중국 백신 맞았는데, 인도네시아 의사 10명 코로나 사망

인도네시아에서 적어도 10명의 의사가 중국 시노백이 개발한 불활성화 방식의 백신을 두 차례 접종하고도 코로나19에 돌파 감염돼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도네시아에서

news.naver.com

 

설마? 했는데 결국 우려했던 일이 터졌다. 변이가 많은 코로나19 특성상 백신 접종 완료가 된다고 해도 감염되는 사람은 감염된다. 이건 중국산 백신 뿐만 아니라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다른 백신도 모두 해당된다.

 

우리의 몸은 기본적으로는 비슷하면서도 DNA 등 유전자를 다 살펴보면 개개인이 전부 다르다. 당연히 체질도 다르고 면역원성도 다르고 세포도 다르다. 즉 똑같은 환경에 똑같은 음식 먹고 성장한다고 해서 체격이 모두 똑같아지지 않는다.

 

그러니 백신 다 맞았다고 해도 코로나19에 걸릴 사람은 걸리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시노백 백신 접종자 중에서 중증으로 가거나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위에 인도네시아 의사들이 시노백 백신 맞고 사망한 사례도 그렇고 말이다. 이유는 바로 항체 부족...홍콩에서 연구한 데이터에 따르면 시노백 백신 중화항체 수치가 화이자의 1/10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럼 당연히 감염될 확률도 높아지고 중증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도 높아지겠지...이러니 물백신이라고 욕먹을 수밖에...

그럼 왜 시노백 백신은 물백신 오명을 받을 수밖에 없을까? 내 추측이긴 한데 시노백 백신은 불활성화 방식으로 백신을 제조한다.

 

불활성화 백신 제조법은 예방 대상의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증식 후 바로 죽인 뒤 죽은 바이러스를 백신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부작용 등이 적어 안전성이 좋다. 

 

그런데 이 방식은 대량생산이 힘들다. 수요를 맞추려면 생산설비를 증설하면 되지 않냐? 라고 질문할수 있는데 생산설비 늘린다고 해도 백신에 투입할 바이러스 증식 속도는 빨리 만든다고 되는게 아니다. 따라서 생산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내 생각인데 아마 시노백이나 시노팜 두 회사는 중국 내수조차 백신물량 대는게 감당하기 힘든 상황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중국 공산당이 미국과의 백신 보급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시노백 시노팜에 더 많은 백신을 생산하라고 요구했을 것이다.

생산 속도는 한계가 있는데 중국공산당이 더 많은 백신 생산을 요구하라고 명령을 내리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중국 공산당의 요구조건을 들어줄 수 있는 해결책은? 

 

글에 힌트가 있다. 즉 백신에 첨가할 죽은바이러스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래 백신 1도즈에 들어갈 바이러스양을 절반으로 줄이면 같은 양의 바이러스로 백신을 2도즈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즉 백신에 첨가할 바이러스양을 줄여 생산량을 늘린듯 하다. 내 생각이지만...그럼 예방 효능도 떨어질 수 밖에...

 

애초에 대량생산이 힘든 방식인데 중국 내수도 모자라 수출까지 감당해야 하니 시노백이나 시노팜 두 회사가 얼마나 고달프겠나? 

 

#물백신

#중국산백신

#시노백

#시노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