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보면 가장 난해한 교통사고 사례가 바로 주행중 화재가 발생한 사고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충돌사고 혹은 고장과 다르게 화재사고는 뜨거운 불길이 모든걸 태워버리기 때문에 사고 흔적조차 남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런 상황에서는 화재의 원인이 뭔지 화재의 발화지점이 어디인지 알 수 있는 가능성이 희박하다. 위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주행중 스스로 엔진룸이 발화되면서 화재가 시작됐다. 당연히 사고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다만 해당 차량은 3.3L 람다 엔진이 탑재됐다고 한다. 람다 엔진은 세타 엔진과 같은 피스톤 스커핑 현상이 거의 없다. 세타 엔진은 심한 경우 피스톤 컨로드가 엔진 블럭을 뚫고 나가는 사례도 있지만 람다 엔진은 그런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대신 람다 엔진은 고질적인 헤드볼트 결함이 있다. 엔진의 헤드와 블럭을 고정하는 헤드볼트 끝부분이 마모되면 마모된 볼트를 통해 엔진오일이 누유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누유된 엔진오일이 표면온도가 500도를 넘는 배기매니폴드 혹은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와 닿게 되면? 당연히 누유된 엔진오일은 발화되어 화재로 이어진다.

 

위 영상의 K7 화재 원인이 무조건 헤드볼트 결함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다만 화재 직전 무언가 부딪혀 엔진 외부가 손상되지 않았다면 충분히 의심할 수 있다.

 

저 차량의 경우 과속 등 난폭운전 의심이 들기는 하는데... 과속 난폭운전 한다는 이유로 불이 붙으면 그건 말이 안되겠지...과속이래봐야 영상에서는 140km/h 언저리인데 140km/h 달렸다고 주행중 불나면 그건 불량 결함이다.

 

#차량화재

#자동차화재

#엔진결함


정상적으로 주행중 갑자기 화재가 발생한다면? 차주 입장에서는 정말 열받을 겁니다. 정신적인 피해 뿐만 아니라 물질적인 피해를 입게 되는데 솔직히 차량화재시 차 안에 둔 물건을 보상받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BMW 2.0 디젤엔진이 탑재된 520d, 6 GT 모델에서 주행중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데요. 위 영상은 지난 6월9일 밤10시30분 경부선 통도사IC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 영상으로 화재 발생전 엑셀레이터 페달이 먹통되면서 타력주행으로 갓길로 이동해 겨우 멈췄다고 합니다.


차량 고장 후 차주는 긴급 출동을 전화하는데 본넷에서 연기가 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119에 신고한지 35분이 지나서야 소방차가 도착했지만 차는 이미 전소된 상태였다고 합니다.


차주는 몸만 빠져나왔으며, 지갑과 가방 등 중요물품은 불타는 차 안에 그대로 탔다고 합니다.


BMW측은 사고 후 자체조사결과 화재원인이 미상이라고 차주에게 통보했으며, 화재원인을 알 수 없으니 보상을 해줄 수 없다고 합니다. 다만 도의적인 책임으로 BMW 재구매시 추가할인 보험료 할증 지원을 제시했는데요. 이건 뭐...보상 안해주고 선심쓰는 척 한다고 볼 수 있겠죠.


차주는 이에 대해 화재를 경험한 BMW차량을 다시는 구매하고 싶지 않으며  9월 이후 다른 브랜드 수입차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BMW 520d 화재사고는 올해 들어서만 7건 발생할 정도로 유난히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공통점은 사고 등 외부충격 없이 정상주행중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BMW 2.0 디젤엔진인 N47 엔진이 탑재된 520d, 6 GT에서 주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국토부는 연료호스 균열 때문이라고 추정했지만 BMW측은 “해외에서 연료호스 때문에 화재가 난 사례가 없다”라며 반발했었습니다.


그러면서 화재 원인은 튜닝, 엔진개조, 배선개조, 불량 DPF 등 잘못된 수리 때문이라고 밝혔는데요. 


차주는 이에 대해 소유했던 BMW 520d는 공식 서비스센터만 이용했으며 튜닝은 한적도 없다며, BMW 측이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제 블로그와 유튜브 네이버tv 영상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쌍용 티볼리, I40 화재사건 등을 취재해서 올렸었습니다. 자동차 화재 사건들을 보면서 화재 초기진압의 중요성을 알게 됐는데요.


화재사고를 당한 차주분들 중에서 완전히 전소된 차량의 경우 대부분 불에 타서 아무런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



반면 티볼리 가솔린을 소유했던 한 분은 범퍼와 배선 일부만 불에 탔는데요 범퍼 일부와 배선 에어컨라인을 제외한 나머지는 불에 타지 않았고 심지어 엔진과 미션도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그렇다면 티볼리 가솔린 차량은 범퍼와 배선 일부만 타고 나머진 멀쩡했을까요?    


그것은 바로 화재를 초기에 진입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티볼리 가솔린 차주분은 목적지인 펜션에 도착하자마자 화재가 발생했는데 차주분은 펜션에서 소화기를 빌려 사용했고, 화재 진압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티볼리 디젤 오너 두 분은 주행도중 화재가 발생했는데  다른 운전자의 도움을 받아 소화기를 사용했지만 이미 화재가 크게 발생했거나 아예 소화기가 없어 차가 불에 탈 때까지 바라만 보는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현행법으로는 7인승 이상 SUV, RV 차량이면 소화기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저는 승용차는 물론 저속전기차에도 소화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탑승자의 생명을 지키면서도 차량을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는데요 소화기를 사용해 초기진압 성공하면 그만큼 화재원인도 밝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진압에 실패하면 화재원인을 밝힐 확률이 그만큼 낮아지죠 국과수나 소방서 등에서 화재원인이 원인불명으로 밝혀지면 설령 블랙박스 주행영상이 남아있어도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은 "우리는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최소한 발화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라도 제가 모든 자동차에 소화기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최근 쌍용 소형 SUV 티볼리에서 주행중 화재가 발생한 운전자의 사연이 올라왔습니다.


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엉뚱티라는 분이 올린 억울한 사연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2월 26일 13시23분 왕복 2차선 도로 주행중 '퍽'하는 소음을 들렸는데 목적지까지 얼마 남지 않아서 그대로 주행하기로 결정한 운전자와 동승자는 목적지에 도착하기 직전 계기판에서 에어백 등 경고등이 점멸됐습니다. 이때 냉각수 온도는 정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최종목적지인 펜션에 도착후 자동차 하부에서 화재를 발견했는데 다행히 펜션소화기가 있어 운전자가 직접 차량 화재진압 했고,  근처에 있던 산불감시원이 화재진압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운전자 측은 블랙박스 확인결과 도로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기록이 없다고 주장했는데요.


이에 대해 쌍용차 측은 라디에이터 아래에 있는 하부 프레임이 찌그러졌다는 이유로 주행중 강하게 외부 충격을 받아 화재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티볼리 운전자는 엔진룸 하부에 보호용 커버가 있는데  외부충격으로 화재가 발생했다는 쌍용차 측의 주장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운전자는 쌍용차 사업소에 입고전 1급 공업사에 잠시 차를 맡겼는데 공업사 측은 자동차 배선 문제로 화재가 발생한 거 같다 라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저도 해당 차량을 직접 봤고 연료누출이나 엔진오일등이 새면서 문제가 발생 여부도 보았는데 엔진오일량은 정상이며, 연료 누출 등의 문제도 없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