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부터 출시된 쉐보레 신형 스파크가 8 6,987대라는 정점을 찍고 판매량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급기야 114,473대 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경쟁 모델인 모닝이 11 8,22대를 팔아 치운 것과 대조적이죠.

 

기아 모닝은 2011년에 출시되었고 쉐보레 스파크는 올해 출시되었습니다. 출시 시기만 보면 4년 차이죠 이 차이는 매우 큽니다. 요즘 자동차들이 신모델 출시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완성차 업체들은 신모델 출시 시기에 맞춰 판매량을 끌어 올리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쉐보레 스파크는 8월 근소한 차이로 기아 모닝보다 앞선 걸 제외하면 스파크는 모닝보다 판매량에서 앞서지 못했습니다.

 

제가 현재 아반떼 쿠페 소유하고 있지만 2013년 상반기 까지만 하더라도 저는 쉐보레 스파크를 소유했었습니다. 1세대 스파크는 높은 차체에도 불구하고 단단한 서스펜션과 자연스러운 스티어링휠 반응 그리고 4기통 숏스트로크 엔진 고유의 부드러운 회전질감이 장점이라 생각된 모델입니다.

 

다만 저회전에서 힘이 너무 약하고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을 때마다 노킹이 발생하며 서지탱크가 엔진룸 뒤쪽이 아닌 위쪽에 덮여 있는 구조여서 점화플러그, 점화배선을 교체하게 되면 공임비용이 경쟁 모델인 모닝보다 비쌌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렇다고 DIY 하기에도 쉽지 않고요.

 

 

올해 여름 출시된 2세대 넥스트 스파크는 구형 스파크의 단점이었던 저회전에서 힘이 부족한 현상이 확실히 개선되었고 구형 스파크와 다르게 점화플러그 교체 시 정비성도 개선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4기통에서 3기통 엔진으로 변경되면서 점화플러그 교체 시 플러그 3개만 필요하게 되었고 따라서 점화플러그 가격이 구형 스파크와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확실히 소모품 유지비 측면에서는 절약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최근까지는 그렇게 믿었죠.

 

쉐보레 스파크 VS 기아 모닝 소모품, 유지비 차이는?

 

1세대 쉐보레 스파크를 소유하면서 점화플러그 교체 시 서지탱크를 들어내야 하는 구조 때문에 경쟁 모델보다 공임비가 더 듭니다. 따라서  2세대 스파크는 1세대 대비 공임비 자체는 적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두 모델의 소모품 비용이 궁금해서 소모품 비용을 조사하던 중 점화플러그 등 일부 소모품가격이 경쟁 모델인 모닝보다 월등히 비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나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2세대 스파크 부품 가격이 모닝보다 월등히 비쌉니다. 기아차, 한국지엠 사업소 그리고 오토큐와 바로정비서비스 등에 랜덤으로 전화를 걸어 물어본 결과인데요. 특히 점화플러그가 모닝과 비교해서 상당히 비싸고 이리듐이나 백금이 아닌 니켈 재질이라고 합니다. 왜 비싼지는 저도 알 수 없네요.

 

물론 변속기오일이나 브레이크액은 공임 포함해서 스파크가 좀더 저렴합니다. 보통 자동변속기의 경우 기계로 순환해서 오일을 교환하는 편인데요. 스파크에 기본으로 적용되는 CVT를 포함해서 DSG 등은 이런 방식이 아니고 수동변속기와 비슷하게 교환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4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모닝의 변속기오일 교환비용이 더 비싼 듯 합니다.

 

일부 오너들이나 네티즌들은 스파크 소모품비용이 비싼 만큼 부품 품질이 좋고 필터류 두께가 더 두껍다고 하는데 글쎄요. 물론 스파크에 적용되는 부품 품질이 모닝보다 좋을 수도 있겠지만 비싼 만큼 성능과 내구성이 비례해서 좋아지진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지엠 소모품비용 낮추고 정비성 높였으면

 

한국지엠이 수입차로 분류되고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고 모델 전량 수입 판매하는 수입차 회사라면 몰라도 국내에서 3개의 공장을 보유한 국내 기업입니다. 모닝과 비교한 스파크의 경우 창원공장에서 생산되어 엄연히 국산차입니다.

 

현재 판매되는 신형 스파크는 구형과 다르게 정비성은 조금 나아졌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구형 스파크보다 훨씬 더 비싼 소모품가격은 조금 납득이 되지 않더군요. 점화플러그의 경우 구형 스파크가 4개 한셋트 9,400원 그리고 신형 스파크가 3개 한셋트 27,060원 입니다. 다행인 것은 신형 스파크는 구형과 다르게 DLI 방식이어서 점화플러그 교체할 때 점화배선도 같이 교체할 일이 없습니다.

 

 

위 사진은 과거 구형 스파크 소유할 때 점화플러그, 점화배선, 점화코일을 교환 후 영수증에 찍힌 비용입니다. 공임비 부품비 모두 합쳐서 111700원 이라는 비용을 지불했는데요 현재 판매되는 스파크는 이보다는 조금 더 저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단 스파크 모닝 뿐만 아니라 아베오나 크루즈 말리부 그리고 알페온의 경우도 대체로 현대기아차 경쟁 모델과 비교 시 대체로 소모품이나 부품비가 비싼 편인데요. 엔진 등 중요한 부품이야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부품이 아니기 때문에 비용보다는 성능이나 내구성을 확보해야 겠지만 일정한 주기마다 교체하는 소모품은 가격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작년 상반기 쉐보레 신형 스파크를 중고로 보내고 이후 아반떼 쿠페를 구매해서 지금까지 타고 있지만 쉐보레 스파크 수동 약 4년 동안 15만km를 주행 하면서 2번 인젝터 트러블로 인젝터 교환했던 걸 포함해서 여러 고장을 겪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던 모델이라 생각됩니다. 특히 경쟁 모델인 기아 모닝과 비교해서 탄탄한 서스펜션으로 인한 주행안전성과 더 넓게 도포된 언더코팅은 구형 스파크의 장점이라 생각됩니다.

 

최근 팀 이타샤 동호회 회원분께서 올해 출시한 신형 스파크 LT+ 수동 모델을 구매 하셨습니다. 그런데 리프트를 띄우고 사진 찍은 걸 올리셨는데 쉐보레 구형 스파크와 다르게 언더코팅이 거의 도포되지 않았습니다.

 

작년 상반기까지 소유했던 쉐보레 스파크 하부 사진입니다. 언더코팅이 비교적 넓게 도포되어 있습니다.

 

배기라인이 지나가는 부분 또한 배기라인이 직접 지나가는 부분을 제외하면 언더코팅이 어느 정도 도포되어 있는데요.

 

위 사진은 팀 이타샤 동호회 회원분이 구매하신 신형 스파크 하부 사진입니다. 제가 소유했던 구형 스파크와 다르게 언더코팅이 사실상 거의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조금 의외라고 생각됩니다. 경차라서 마진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을 한 것일까요? 다만 촉매와 중통 부위 방열판 면적은 구형 스파크보다는 넓습니다.

 

한국지엠이 2세대 쉐보레 스파크를 출시하면서 상품성을 크게 높이고 안전사양 편의사양을 대폭 적용하면서 올해 8월 기아 올 뉴 모닝보다 국내에서 더 많이 판매되었습니다. 하지만 언더코팅 면적이 출소되는 등 상대적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의 방청 처리는 소홀히 한 점도 확인했습니다.

 

이 뿐만 아니고 하우 트림 센터 헤드레스트 논란 얇아진 유리두께에 이어 최근 동호회 중심으로 LTZ 미만 하위 트림의 경우 순정 14인치에서 15-16인치로 휠, 타이어 업그레이드하기 사실상 힘들어졌다고 합니다. LS부터 LT + 트림 그리고 LTZ 트림 스티어링휠 기어비가 달라 하위 트림에 LTZ 15, 16인치 휠, 타이어를 그대로 장착할 경우 타이어 안쪽에 간섭이 생겨 운행 시 위험하다고 합니다. 

 

다른 국산차 모델에서는 이런 사례가 없었는데요. 경차에 휠, 타이어 인치업해서 타는 경우가 많지 않겠지만 왜 굳이 하위 트림과 최상위 LTZ 트림 간의 스티어링휠 기어비 차별을 두어 휠, 타이어 인치업을 사실상 제한하고 있는지 조금 의아합니다. 

 

 

2015 오토모티브위크 행사에서 제가 가입된 팀 이타샤 동호회 모임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뜻하지 않게 신형 스파크 수동을 구매하신 분이 계셔서 쉐보레 신형 스파크 수동을 시승해 볼 수 있었습니다.

 

제 블로그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2010년 7월 쉐보레 브랜드가 도입되기 전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수동을 구매 후 약 4년 동안 15만km를 주행했으며 작년 상반기에 중고차로 매각 후 아반떼 쿠페 수동을 구매했습니다. 하지만 엔진 배기량이 2.0L에 달해서 시내 주행 특히 지금과 같은 여름철 시내 주행은 에어컨을 가동하면서 연비가 많이 하락했습니다.

 

따라서 세컨으로 경차 혹은 소형 디젤 승용차 수동변속기 모델을 구매하려고 고려했었는데요. 운 좋게도 동호회 회원 분의 신형 스파크 수동을 잠깐이나마 체험할 수 있었고 덕분에 구형 스파크와 신형 스파크 수동 모델을 자연스럽게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두 개의 자동차키가 있는데요. 오른쪽 크롬테두리를 두른 키가 스파크 LTZ CVT 스마트키 왼쪽이 스파크 LT+ 수동변속기 자동차키입니다. 한눈에 봐도 오른쪽 스마트키가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클러치 밟아야 시동 걸린다.

 

 

수동변속기 자동차를 소유하신 분들이라면 이게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지? 라는 반응이 나올 겁니다. 대부분 수동변속기 자동차들은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시동이 걸리는데요. 제가 예전에 소유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아니 쉐보레 스파크는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도 시동이 걸렸습니다. 덕분에 조수석에서 휴식을 취한 뒤 조수석에서 시동 걸 때 참 편리했습니다.

 

하지만 기어가 물린 상태에서 클러치를 밟지 않고 시동이 걸리면 앞으로 혹은 뒤로 갑자기 튀어나가는 안전문제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수동변속기 자동차들은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시동이 걸리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신형 스파크 수동은 제가 소유했던 구형과 다르게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시동이 걸립니다.

 

저회전 토크

 

 

구형 스파크는 4기통 신형 스파크는 3기통 1.0L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구형 스파크의 최대 문제점은 1.0L 4기통 그것도 실린더 지름을 의미하는 보어가 실린더 높이를 의미하는 스트록보다 더 큽니다. 이러한 엔진을 스트록이 짧다고 의미하는 숏스트록 엔진이라고 합니다.

 

숏스트록 엔진은 고회전에서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지만 저회전에서 토크가 부족해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실제로 구형 쉐보레 스파크는 3,000rpm 이하에서 힘이 부족하고 특히 가파른 언덕을 올라갈 때 정차 후 다시 출발 시 부족한 저회전토크 때문에 rpm을 적어도 3,000rpm 이상 띄우고 출발해야 할 정도입니다.

 

하지만 올해 출시한 신형 스파크는 기통수가 3개로 줄어든 3기통 엔진이 탑재되면서 실린더 크기가 커지고 스트록이 보어보다 길어져 저회전 토크 증대에 유리해졌습니다. 4기통에서 3기통으로 줄어든 만큼 2,000rpm 이하 저회전 토크가 높아진 걸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예전에 구형 스파크를 운전할 때 서행 상황에서 40km/h에서 5단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습니다. 구형 스파크는 조용하지만 토크 부족을 간간히 느꼈지만 신형 스파크는 5단 1,500rpm 이하 상황에서도 편안하게 가속할 수 있을 만큼 토크가 증대되어 한결 편하게 주행이 가능합니다.

 

디지털 액정 계기판에서 아날로그 계기판으로 변경

 

수동변속기 오너라면 rpm에서 맞춰 변속을 하기 때문에 속도계보다 엔진회전수를 가리키는 타코미터가 더욱 중요합니다. 구형 스파크 계기판은 모터사이클에서 영감을 받은 계기판이며 속도계는 아날로그 타코미터는 디지털 방식입니다.

 

하지만 디지털 방식 타코미터는 정밀하지 않아서 정확한 rpm을 알 수 없었으면 4,000rpm 이후는 500rpm마다 눈금 한 칸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에 4,000rpm 이상 고회전 상태에서 원하는 rpm에 변속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신형 스파크는 이러한 단점 때문에 다시 아날로그 계기판으로 돌아왔습니다. 타코미터가 큼직하지 않지만 그래도 구형 스파크보다는 엔진 rpm을 더 쉽게 알 수 있어 한결 편합니다.

 

이 외에도 변속충격이 더 적어졌고 저단 상태에서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았다가 뗄 때 울컥거리는 말타기 증상을 최소화하며 한결 편리한 시내주행이 가능합니다.

 

구형 스파크와 신형 스파크 수동 모델의 공통점

 

기어봉 변속감각

 

 

변속감각은 구형이나 신형이나 비슷합니다. 쉐보레 스파크 기어봉이 은근히 길어서 변속할 때 손목과 팔을 움직임이 많은 편인데요 구형이나 신형 둘 다 비슷한 수준입니다. 제가 시승한 신형 쉐보레 스파크는 LT+ 트림인데요. LTZ 수동 기어봉은 제가 시승한 LT+ 트림보다 기어봉이 더 고급스럽다고 합니다.

 

기어비

 

신형 스파크가 메이커 시승차가 아니고 동호회 회원 분께서 직접 구매한 자동차여서 급 가속 및 기어비 체크 제대로 하진 못했습니다. 하지만 시내 주행하면서 1단부터 5단 까지 변속해보니 기어비 자체는 구형 스파크와 큰 변화가 없는 듯 합니다.


시속 40km/h 5단 주행 시 1,200-1,300rpm을 가리키는데 구형 스파크 또한 이와 비슷하고요. 각 단을 체크해보니 구형 스파크와 거의 비슷했습니다. 따라서 5단 시속 100km/h 주행 시 3,000rpm을 살짝 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시내주행이 더 편안해진 신형 스파크 수동

 

 
현재 우리나라 대다수 시승 차 99%가 CVT 듀얼클러치 변속기를 포함한 두 개의 페달만 장착된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으며 수동변속기 시승 차는 하늘에서 별따기 수준입니다. 그나마 한국지엠이 의외로 수동변속기 시승차를 운영했던 적이 있었는데요. 작년 11월 용인스피드웨이에서 진행된 쉐보레 아베오 미디어 시승회에서도 잠깐이지만 수동변속기 시승차를 운영해서 아베오 1.4L 가솔린 터보 수동 시승차를 잠깐 경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자동차 메이커들이 A/S 편의 및 이윤을 위해 수동변속기 모델 운영 비중을 줄이는 것도 이유가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편리한 운전을 위해 변속할 때마다 클러치를 밟아서 손으로 직접 변속하고 출발할 때 클러치 페달과 엑셀레이터 페달을 정교하게 컨트롤 해야 하는 수동변속기를 외면하고 D 레인지에 놓으면 알아서 출발하고 자동 변속되는 자동변속기를 거의 대부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메이커 입장에서는 굳이 소수를 위해 수동변속기가 탑재된 자동차 모델을 더 이상 운영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나마 경차는 아직까지 경제성 등을 이유로 상대적으로 수동변속기 판매비율이 높은 편이지만 그렇다 해도 경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들 중에서 90% 이상이 자동변속기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쉐보레 스파크의 경우 구형 기준으로 주로 유럽에 수출되었는데요. 유럽에서는 스파크를 포함한 컴팩트 해치백 소형차들 대부분 수동변속기 모델이 주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신형 스파크 수동 모델은 구형 스파크보다 시내 주행에서 더 편안한 주행을 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경차 규격에 맞춘 모델인 만큼 공간이 좁고 뒷좌석 레그룸 또한 구형 스파크와 비슷합니다. 또한 전고가 1,520mm에서 1,475mm로 크게 낮아졌는데요. 유럽에서 실시하는 무스테스트(회피테스트)에서 스파크가 5.5점을 받아 최악의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전고를 크게 낮춘 듯 싶습니다. 그래서인지 뒷좌석 헤드룸은 구형보다 더 좁아진 듯 합니다.

 

사실 제가 쉐보레 스파크 신형 수동모델을 구매할 계획인데요. 지금 가지고 있는 아반떼 쿠페는 고속도로 위주로 그리고 스파크 수동은 시내 위주로 주행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구매하게 되면 LTZ에 선루프 빼고 모든 옵션을 추가해서 구매할 예정입니다. 다만 지금 자금사정이 조금 좋지 않은 관계로 당장 구매할 가능성은 없구요.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를 생각 중입니다. 예전에 구형 스파크 수동을 구매 후 롱텀테스트 했듯이 신형 스파크 또한 구매 후 롱텀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래 영상은 쉐보레 스파크 수동 간단시승기 영상입니다. 조잡하게 촬영하고 편집해서 어설픈 면이 많지만 스파크 수동을 포함해서 수동변속기 자체가 국내에서 흔치 않은 만큼 그래도 끝까지 감상하시고 조언이나 질책 등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