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sel, DPF, DPF 백금, NOX, 디젤 SUV, 디젤승용차, 디젤승용차 DPF, 디젤승용차 후처리장치, 디젤차, 디젤차 수리비, 디젤차 시내주행, 디젤차 연비, 디젤차 터빈, 질소산화물
2005년 전후로 가솔린, LPG 자동차보다 연비가 월등히 높은 디젤승용차가 등장했습니다. 디젤승용차는 연비 뿐만 아니라 당시 지구온난화 주범으로 지목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가솔린 LPG보다 배출량이 낮아 디젤차=친환경 이라는 공식까지 나올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2015년 9월 소프트웨어로 배출가스 조작한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가 폭로되면서 디젤차가 질소산화물(NOx)을 더 많이 배출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됐습니다.
NOx는 대기중 수분과 만나면 산성비의 원인이 되어 식물에 큰 피해를 입히고 인체에도 유해해 폐기종, 기관지염 등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완성차 업체들은 이 질소산화물을 줄이기 위한 저감장치 성능을 높이는데 주력했는데요. 보통 LNT라는 질소산화물저감 촉매가 DPF 매연저감필터와 일체형으로 붙어있습니다. 대부분 국산차는 이 LNT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그런데 디젤차 특히 LNT만 탑재된 디젤차의 경우 단거리 시내주행만 한다면 최악의 경우 엄청난 수리비 폭탄에 떠안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위에 있는 영상을 보시면 나옵니다.
'레드존의 자동차 이야기 > 레드존의 자동차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K5 흑역사(구형)-난폭운전 이미지가 강한 비운의 모델 (0) | 2018.05.21 |
---|---|
현대 YF쏘나타 흑역사 - 판매량은 최고 품질과 결함은 최악 (0) | 2018.05.20 |
기아 쏘렌토 에바가루가 발암물질? 모든 차량에 해당되진 않는다. (9) | 2018.05.17 |
현대차 투스카니 의인에게 벨로스터 선물한 이유가 무엇일까? (0) | 2018.05.15 |
BMW 320d 주행중 시동꺼짐 증상으로 고통받는 오너분의 이야기 (0) | 201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