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에서 생산한 전자제품, 항공, 자동차 등의 품목을 대상으로 2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중국은 여기에 맞서 미국에 생산된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는데요.


중국은 무역전쟁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전에 무역분쟁 완화 제시안으로 현행 25%의 수입차 관세를 7월 1일부터 15%로 낮추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중국의 정책은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에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대기아차그룹의 경우 제네시스브랜드가 한국에서 조립 생산해 중국에서 판매하고 있는데요.


관세가 10% 인하된 만큼 중국에 판매하는 자동차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됐습니다. 즉 가격경쟁력이 강화된 셈이죠.


반면 미국에서 조립 생산된 자동차는 관세가 더 높아집니다. 무슨 말이냐면 관세가 15% 인하됐지만 미국산 자동차는 여기세 25% 추가 관세가 더해지기 때문에 미국산 자동차는 총 40%의 관세를 중국에 내야 합니다.


미국은 설상가상으로 유럽과도 무역전쟁을 진행중입니다. 이미 미국은 유럽차에 2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고 여기에 반발한 유럽도 보복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은 자국 이익을 위해 세계 각국과 일대 다수로 싸우게 되는 형국이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미국에 진출한 자동차업체들이 피해를 입게 됩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미국이 불리해지게 되는데요. 이미 BMW는 관세 압박을 피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공장 생산을 축소하거나 아예 다른 국가로 옮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포스트앤드쿠리어에 따르면 BMW는 중국 합작사인 브릴리언스 오토모티브그룹 홀딩스와의 최근 계약에 따라 중국 내 제조시설의 생산량을 내년까지 연간 52만 대로 늘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반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스파탠버그에 있는 공장의 생산량을 줄일 에정이라고 하는데요. 이 공장에서는 BMW 중형급 SAV X3부터 플래그십 모델 X7까지 생산하고 있습니다. 


만약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스파탠버그 공장이 철수하게 되면 해당 지역 경제는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되겠죠. 이 공장에는 약 1만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BMW 뿐만 아니라 미국 오토바이 브랜드 할리 데이비슨도 유럽의 보복관세를 피해 미국 위스콘신 주에 있는 생산시설을 해외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은 확실히 큰 나라입니다. 인구도 많습니다. 하지만 인구수가 결정적으로 많지는 않죠. 미국의 인구는 약 2억2,300만명입니다. 중국이 15억명이 넘는 것과 비교하면 시장규모 자체는 중국이 더 큽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대 다수로 싸우는 형국인데요. 아무리 강한 사람이라도 여러명이 다굴하면 이기기 힘듭니다. 지금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보면 진짜 자국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 잘만 이용하면 우리나라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조립 생산된 차량이 중국에서 보복관세 부과 때문에 가격경쟁력 상실할 경우 한국차 업계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고요.


더 나아가 완성차 업체 생산공장 국내에서 유치하는데도 유리합니다. 강성노조가 문제긴 하지만 아직까지 임금 수준이 미국이나 캐나다와 비교해 경쟁력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점 십분 활용해 보았으면 합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생각나네요.


한국지엠이 구조조정과 지원 문제 등으로 사측 vs 노조 그리고 사측 vs 정부와 힘겨루기를 계속 이어가고 있는데요.


한국지엠이 철수하든 국내에 계속 존속하든 사실상 가동이 중단된 군산공장은 현상황에서 폐쇄가 사실상 확정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가 호주식 해법으로 군산공장 폐쇄 문제를 풀겠다고 했는데 호주식 해법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문재인 정부가 예정대로 추진하면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가 군산공장을 인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기차는 사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시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설계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특히 시속 60km/h 이하로만 달릴 수 있는 저속 전기차는 제작이 더욱 쉽습니다.


글로벌 청소기업체 다이슨이 전기차 진출하겠다는 선언한 이유도 전기배터리와 전기모터만으로 충분히 전기차를 만들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청소기 전문 다이슨이 저정도인데 전자제품도 만든다고 선언했는데 전기차 모터, 배터리 외에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만들고 있는 삼성 & LG가 전기차 못만드는 법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삼성과 LG가 군산공장을 인수와 동시에 전기차 사업에 진출할 수 있을까?




삼성은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 주로 유럽 완성차 업체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외에 LED 소재 계기판, HUD를 제품들을 만들고 있죠.


94Ah 배터리를 탑재한 BMW i3는 삼성 SDI에서 만든 배터리가 탑재됐으며, 주행거리가 종전보다 늘어나 한번충전시 3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삼성은 저속용, 고속용 관계없이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은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 삼성자동차를 설립해서 자동차 제조업에 진출한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삼성자동차는 실패를 경험했기 때문에 다시 자동차 제조업에 진출하긴 힘들 것이다.


또한 그룹 총수가 최순실-박근혜 게이트에 연루되어 있는 상태라 현재로선 힘들다고 봐야죠


다만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삼성2016년 하반기 하만을 인수했는데요. 하만은 보통 카오디오 브랜드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자동차 전장사업이 주력인 기업입니다.


일각에서는 삼성이 하만 인수가 삼성전기차 만드는 포석 아니냐? 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 LG는 어떨까요? LG는 군산공장을 인수해 전기차 사업에 진출하면 좋겠다는 네티즌들이 은근히 많았습니다.


LG도 삼성처럼 전기차의 핵심부품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생산하고 GM과 현대차 등 여러 완성차 업체와 협력하고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GM의 쉐보레 볼트는 자동차 매니아들 사이에서 우스갯소리로 GM이 아닌 사실상 LG 기술력으로 개발한 차량이라고 말할 정도로 높은 기술력을 갖췄습니다.


따라서 LG도 얼마든지 전기차를 개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데요. 전기차 생산 목적으로 군산공장 인수해서 활용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다만 당장의 실현가능성은 LG도 힘듭니다. 삼성이나 LG 둘다 전기차 직접생산은 어마어마한 리스크를 떠안아야 합니다.


삼성 SDI, LG 화학은 중국 제외한 전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전년대비 각각 92%, 165% 성장률을 달성했는데 이는 높은 기술력과 함꼐 완성차 업체들과의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맺어야 가능합니다.


만약에 삼성이나 LG 둘다 전기차를 앞세워 자동차 제조업에 진출하는 순간 지금까지 협력관계를 맺은 완성차 업체들은 바로 적으로 간주해 협력 관계가 깨지고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 공급이 중단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되면 삼성이나 LG 두 업체는 큰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하지만 가능성이 완전 제로는 아니죠.


이유는 현재 판매하고 있는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가 수익은 커녕 오히려 손실을 유발하는 모델도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 예로 쉐보레 볼트EV는 GM 본사에서 대당 8000-9000달러 손실을 보면서 판매하며, 다른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또한 손실을 보면서 파는게 대부분입니다.


즉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하면서 발생한 이익으로 전기차 생산하면서 발생한 손실을 메꾸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성 의문이 들겁니다.


왜 완성차 업체들은 팔수록 손해보는 전기차를 판매하는가?


이유는 미국과 유럽 중국 등의 국가에서 연비&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기 때문이며 우리나라 또한 202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판매하는 모든 자동차 모델 평균연비를 리터당 20km/l 이상 끌어올리도록 규제했습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는 이렇게까지 끌어올리기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데 현대기아차 니로, 아이오닉 쉐보레 B볼트 등 순수전기차는 자동차 전모델 평균연비를 끌어올리는 일등공신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가 너무 많이 판매되는걸 그리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세는 전기차 수소연료전치차 등으로 기울어지고 있으며, 미세먼지 대기오염 배출 일등국 중국은 아예 의무판매제도를 고시해 전체생산량 중 일정 비율을 전기차로 판매하도록 강제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되면 완성차 업체는 자사에 전기차 배터리 등을 공급하는 협력사들에게 더 높은 기술력과 함께 더 낮은 가격에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과 LG도 현재까지는 여러 완성차 업체들과 밀월 관계에 있지만 이러한 밀월관계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GM은 메리바라 CEO 취임이후 GM 산하 브랜드와 해외생산공장을 정리했는데 다음 정책은 아마 판매할수록 손실보는 전기차 생산구조를 손 볼 것이며 그렇다면 GM과 LG 관계가 틀어질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만약 LG와 GM이 돌이킬수 없는 수준까지 관계가 나빠질 경우 다른 완성차업체에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을 공급하는데 신경쓸 것이지만 하지만 이것도 여의치 않으면 직접 전기차를 생산할 가능성도 있다.


여기서 글 마치겠습니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GM)는 13일 오전 한국지엠의 군산공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하면서 5월 말까지 군산공장에서 생산하는 쉐보레 크루즈 생산을 중단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GM이 군산공장 폐쇄 이유는 지난 몇 년 동안 심각한 손실로 인한 사업구조 개선 그리고 해가 갈수록 낮아지는 군산공장 가동률이 근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노조와 지자체는 "일방적인 GM본사 통보는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는데요.



GM본사와는 별도로 한국지엠은 부채 2조7000억 원을 해결하겠다고 밝혔지만 단순한 희망사항일뿐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한 플랜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번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드디어 올게 왔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사실 한국지엠 철수 이야기는 과거에도 꾸준히 제기된 문제였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지엠은 군산공장 폐쇄 후 다른 사업장도 모두 철수할까요? 제가 한국지엠 철수에 관한 3가지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첫번째 - 완전철수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그리고 10년 전 우리나라에서 겪었던 사례이기도 하죠. 바로 쌍용자동차를 먹튀한 상하이자동차 사례입니다.



과거 쌍용차를 인수했던 상하이차는 인수후 쌍용차 신차개발 투자는커녕 4년 동안 쌍용차의 디젤 파워트레인 기술력을 유출해 훔친 사실이 발각됐습니다.


이에 상하이차는 2009년 법정관리 신청후 경영권을 포기하고 떠나게 되는데요. 쌍용차는 2010년 인도 마힌드라그룹이 인수하기 전까지 사라질 위기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메리 바라 CEO 등 GM 임원진들이 어떠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GM이 완전하게 철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쌍용차 사례와 다른 점이 있다면 GM은 그래도 국내에 투자한 요소가 많습니다.


한국지엠에서 투자해 설립한 부평에 GM  디자인센터가 있으며, 소형차 개발을 한국지엠이 담당했습니다.


또한 쌍용은 평택공장 하나뿐이지만 한국지엠은 부평공장, 군산공장, 창원공장 3곳이 있습니다.


따라서 완전 철수를 단행할 경우 GM 입장에서도 부담이 커지는데요. 한국지엠이 소유한 공장과 건물 그리고 토지가 순조롭게 매각된다면 모를까? 그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죠. 


두 번째는 적자 심한 설비 폐쇄하고 나머지 시설은 유지



GM은 5월 말까지 군산공장을 폐쇄한다고 방침을 밝혔습니다. 가동률이 워낙 낮은 공장이니 어떻게 보면 당연한 수순인데요.


그렇다면 나머지 부평공장, 창원공장은 어떨까요?


일단 부평공장은 그대로 존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지난해 한국지엠에서 트랙스 후속을 부평에서 생산한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국지엠 공장 중에서 부평이 가장 규모가 큰 만큼 완전한 정리보다는 생산라인은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따라서 GM에서는 군산공장 등 가동률 낮고 적자가 심한 사업은 정리하되 아직 생산할 가치가 높은 부평이나 창원은 그대로 존속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에 완성차는 아니지만 반조립 상태로 수출하는 CKD 물량 비중이 해가 갈수록 높아지는데 GM 입장에서는 CKD 물량을 무시 못 하는 수준입니다.


마지막은 GM이 요구한 대로 한국정부에 자금 지원을 받는 경우



이 경우 한국지엠 임직원 입장에선 가장 좋은 시나리오지만 국민 전체 입장에서 보면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볼 수 있습니다.


GM은 한국지엠 경영 정상화 계획에 28억 달러 투자가 필요하며, 산업은행이 가진 지분율에 맞춰 5000억 원 우선 증자하라고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데요. 한국정부 또한 GM의 요구사항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특정 기업에만 특혜를 주고 국민 세금을 GM에 그대로 바치는 걸로 비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GM에서 요구한 안대로 정부에 금전지원은 현실적으로 힘들겁니다.


아무튼 군산공장 폐쇄는 기정사실화 됐으니 근로자뿐만 아니라 보령 자동변속기 공장 등 군산공장에 자재를 납품 협력, 하청업체도 피해를 입게 됐습니다.



기존에 쉐보레 크루즈를 구매해 소유하는 소비자들도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게 됩니다. GM은 군산공장 포함해 서비스센터를 외주로 돌린다고 밝혔는데요. 이렇게 되면 양질의 A/S를 받기가 힘들어집니다.


중고차시세도 영향을 받게 되어 전반적으로 쉐보레 차량의 감가상각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군산공장에서 생산하는 크루즈는 매입가격이 꽤 많이 낮아질 거라 생각됩니다.

중고차 매입시세가 더 낮아지기 때문에 크루즈 소유주들은 더 낮은 가격에 중고차를 팔 수 밖에 없습니다.


GM, 세계 각국에 자금지원을 받고 먹튀한 사례 여러 번 있다.



GM이라는 자동차 브랜드는 미국 빅3 자동차 브랜드 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컸습니다. 우리가 알던 쉐보레 외에도, 캐딜락, 뷰익 등의 고급 브랜드가 있으며, 지금은 사라진 새턴과 폰티악 등의 브랜드도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유럽에서는 오펠이 대표적인 GM 산하 브랜드였죠.


하지만 GM은 2008~2010년 사이에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엄청난 손실을 입게 되는데요.


이 시기에 미국은 부시 대통령에서 오바마 대통령으로 바뀌는데요. 오바마 정부는 GM의 재정지원 요청을 거절하면서 신뢰할 수 있는 조건과 노조의 고용승계 및 우대를 약속하라고 요구했습니다.


GM은 처음에는 이 안을 거절했지만 GM 릭 왜고너 회장이 사임하면서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였고 결국 2009년 5월31일 파산, 2009년 6월 1일 미국 정부가 GM에 최대 500억 달러를 투자해 GM의 지분 60% 소유하게 됩니다.


GM이 어려워지면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데요. 새턴과 폰티악 등의 브랜드는 사라지고 유럽의 오펠 또한 최대 8300명의 근로자를 해고하고 벨기에 브뤼셀 공장을 폐쇄합니다. 그러면서도 당시 독일 포함한 EU 각국에 최대 27억 유로(당시 환율로 4,300억 원)의 자금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이렇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전세계 금융위기가 지속되면서 GM을 포함한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이 파산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당시 GM대우만 홀로 흑자행진을 이어가면서 GM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2011년 GM대우가 쉐보레로 브랜드를 사용하게 되고 한국지엠 주식회사로 사명을 교체했습니다.



위 사진은 당시 한국지엠 주식회사 사장 마이크 아카몬의 쉐보레 브랜드 발표한 장면입니다. 


당시 마이크 아카몬 사장은 쉐보레 브랜드 도입 배경을 설명하면서 한국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많은 이익을 제공한다고 약속했는데요. 이때가 아마 2011년 3월쯤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이제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폐쇄하고 완전히 떠날 수도 있다고 하니 참 생각이 복잡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