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예비후보가 검찰총장 재직 시절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 등을 고발하라고 사주한 의혹이 계속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여기서 저는 이 의혹을 폭로한 뉴스버스가 어떤 매체인지 궁금해서 뉴스버스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위의 메인 홈페이지 화면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뉴스버스는 시사전문매체입니다. 그 중에서도 다가오는 대통령 선거 후보들의 포커스에 초점을 맞추고 보도하고 있네요. 현재 시국에 주목받기 딱 좋긴 합니다.

 

그럼 뉴스버스는 언제 창간됐을까요? 매체 홈페이지 아래를 봅시다.

창간 발행일이 올해 5월 24일이네요. 신생매체입니다. 100일도 안됐네요. 보통 언론사 대표가 발행인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은데 뉴스버스도 마찬가지네요.

 

홈페이지 하단 오른쪽에 '파워드 바이 ND' 라는 로고가 있는 것으로 보아 엔디소프트 언론사 솔루션을 사용하네요. 

 

 엔디소프트의 진행프로젝트 검색해보니 자세히 나오네요. 계약일은 5월26일 실제 오픈일은 6월 21일로 되어 있습니다.

 

뉴스버스의 매체소개란입니다. '더 나은 저널리즘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라는 제목과 함께 매체소개서를 길게 작성했네요. 

 

메인화면 중단입니다. 뭐 솔직히 기사는 보통 포털로 검색해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위 화면의 기사배열 등 판배열의 중요성이 희석되어 가고 있긴 합니다.

 

다만 뉴스버스는 제가 알기론 아직 '네이버·다음 등 포털의 뉴스평가위원회 검색 제휴'는 안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검색 제휴가 안된 언론사의 경우 직접 포털에 뉴스버스 키워드 검색 후 찾아오는 사람들이 한눈에 기사를 찾기 쉽도록 판배열 디자인을 잘 해줘야 합니다.

 

뉴스버스 메인 홈페이지 판배열 자체는 나쁘진 않네요.

 

메인홈페이지 하단입니다. 정치·시사 매체라 그런지 최근 이슈가 되는 윤석열 예비후보 기사가 많네요.

 

메인기사입니다. 제가 이 매체에서 주목할 만한 건데요. 위 이미지 기사 카테고리를 보시면 Frontline 카테고리에  '윤석열 검찰 총선 코앞 '정치 공작'' 이라는 하위 카테고리를 배치했습니다.

 

윤석열 예비후보가 좋든 싫든 관심이 있다면 해당 카테고리를 눌러서 기사를 볼 수 있게끔 해뒀습니다. 여기에 하나의 이슈로 여러 기사가 장편소설처럼 순서대로 읽을수 있게 기사 제목을 배열한 것도 눈에 띄네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상위 카테고리 제목을 'Frontline' 'lssue' 등 영문으로 작성되어 있다는 점인데요. 보통 정치·시사 기사는 나이가 많은 50대 이상 장년층 노년층이 관심 있게 보는 만큼 카테고리 명칭을 굳이 영문으로 작성할 필요가 있었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정치·시사 기사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뉴스버스의 기사 내용은 여기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다만 저도 기자생활을 해서 잘쓴기사인지 잘 못쓴 기사인지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는데요. 뉴스버스의 기사들은 대부분 잘 쓴 기사들이라고 봅니다.

 

뉴스버스 이진동 대표가 조선일보·한국일보에서 근무했고 경력도 꽤 긴걸로 아는데요. 중간에 국회의원 되고 싶어서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경력도 있네요.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윤석열검찰고발사주의혹

#뉴스버스

#김건희

#정치매체

#윤석열예비후보

https://news.v.daum.net/v/20210629214225011

 

[탐사K] '포털 검색 자격' 어떻게 유지하나 분석해보니..

[앵커] 인터넷에 광고성 기사를 쏟아내거나 여론조작까지 하는 일부 검색제휴언론사들에 대한 보도, 오늘(29일)도 이어갑니다. 어제 경제지 기자였다는 한 모 씨가 운영하는 수상한 언론사 수십

news.v.daum.net

지난 29일 KBS가 네이버, 카카오 검색제휴된 언론사들의 문제점을 보도했다. 이 글을 쓰는 나 또한 한때 언론사의 포털검색제휴와 관련된 일을 했었기 때문에 이들의 생태 구조가 어떤지 어느 정도 알고 있다.

 

포털검색제휴 특히 네이버 검색제휴에 성공한 언론사는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제목을 적었는데 무슨 뚱단지 같은 소리를 하냐? 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뚱단지 소리는 아니다. 사실이다. 포털의 검색제휴 유지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평생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다. 오히려 부자가 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잘 알려진 공중파TV 방송이나 조선, 중앙, 동아일보 등의 메이저 신문사는 물론 규모가 어느 정도 이상되고 한번 이상 들어봤을 언론매체들 즉 한겨레나 매일경제 한국경제 등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런 언론사들은 포털검색제휴 기준 가이드라인을 벗어난다고 해도 문제 없다. 왜 그런지는 알고 있지만 여기서 밝히면 피곤해지니 그냥 밝히지 않겠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언론사는 소규모 인터넷 신문이다. 인터넷 신문들은 분야가 폭넓고 자유롭다. 분야별 전문지 그리고 생활경제지 모두 포함된다. 자신이 원하는 전문분야부터 폭넓은 정치, 사회, 경제 등의 분야까지 기사로 작성해도 검색 제휴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포털검색제휴 특히 네이버와의 검색제휴는 바늘 구멍을 통과하는 수준의 심사를 거쳐야 한다. 1년에 두번 심사하는데 검색제휴 신청하는 인터넷 매체는 수백개에 이르지만 실제 통과되는 매체는 10-20개 수준에 불과하다. 그만큼 심사 기준이 엄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인고의 시간을 거친 후 포털검색제휴 심사에 통과되면? 그 후로는 탄탄대로를 걷게 된다. 자동차로 예를 들면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통과해 넓고 잘 닦인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네이버와의 검색 제휴가 되는 순간 언론사는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획득하게 된다.

 

대표적인 방법이 뭘까? 아마 언론계에 몸담고 있다면 무엇인지 짐작할 것이다. 그렇다 광고성 기사다. 광고성 기사의 장점은 기자가 직접 취재 나가지 않더라도 기사 한건당 최소 몇만원씩 돈을 벌 수 있다.

 

예를 들어 A 라는 언론사가 책정한 광고성 기사 단가가 5만원이라고 가정하자. 그럼 하루에 광고성 기사 4개 올리면 그 언론사는 앉아서 20만원을 벌게 된다. 광고성 기사 4개 언론사 홈페이지에 올려주는거 힘든거 전혀없다. 대행사에서 받은 광고성 기사 원고를 복붙해서 기사 승인내면 끝~

 

하지만...네이버 등 포털과 검색제휴하고 싶은 언론사는 과거도 지금도 무궁무진하게 많다. 반면 검색제휴 자리는 한정되어 있다.

 

이들 포털 검색제휴를 심사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서는 검색 제휴 신청하는 매체들을 심사하는 역할과 함께 심사에 통과된 인터넷 매체들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왜냐고? 광고성 기사로 언론기사를 도배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광고성 기사 뿐만 아니라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기사 송고하는 어뷰징 기사도 해당된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서 검색 제휴된 매체들의 기사를 모니터링하는 도중 광고성 기사를 발견하면 해당 기사의 홍보성 문구 등을 고려해서 벌점을 부여한다. 벌점 한두번 받는 걸로는 검색 제휴에서 퇴출되지 않으며, 벌점 받아도 일정 기간 지나면 벌점이 없어진다.

 

하지만 반복해서 벌점을 받아 포털의 검색 제휴 컷트라인을 넘어서는 벌점을 받으면 해당 언론사는 결국 검색제휴에서 퇴출된다. 최근 이뤄진 평가에서는 무려 11개의 언론사가 검색제휴에서 탈락했다.

 

포털 검색제휴에서 탈락하면 해당 언론사 사주는 배를 곪고 가난해지게 된다. 광고성 기사를 받을 수 없으니 말이다. 광고주는 포털에서 자신들이 제조 수입한 제품이 검색되기를 원하는데 광고성 기사를 올려도 포털 검색이 안되면 광고주가 광고기사를 의뢰할까? 바보가 아닌 이상 의뢰하지 않는다.

 

그래서 인터넷 언론사들이 포털검색제휴 특히 네이버와의 제휴에 목숨 걸게 된다. 네이버와의 검색 제휴에서 탈락한 언론사는 사실상 사형 선고를 받은 것과 다름없다. 여기서 내가 왜 네이버를 강조하는지는 다음에 시간되면 설명하겠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네이버검색제휴

#카카오검색제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