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컨텐츠는 엔진오일 교환시 운전자가 정비사에게 요구할 수 있는 항목 몇 가지를 알리기 위해 작성됐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엔진오일은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소모품이라는 상식을 알고 있습니다. 오일샵이나 정비소에서 가장 많이 교환하는 항목이 바로 엔진오일이죠.


그런데 엔진오일 교환할 때 운전자들이 직접 확인하기 보다는 확인 안하는 운전자들이 많은데요. 특히 국산차 사업소나 직영센터는 ‘정비사들이 알아서 잘 교환해주겠지’라고 생각할겁니다.



그런데 과연 정비사들이 FM대로 작업과정을 지키면서 엔진오일 교환할까요? 손님이 많거나 시간이 바쁘거나 혹은 귀찮다는 이유로 의외로 많은 정비소가 한두가지씩 절차를 생략하고 엔진오일 교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맨 위에 언급한 운전자가 정비사에게 요구할 수 있는 항목은 단돈 10원도 추가되지 않는 겁니다. 어떻게 보면 기본 중에 기본인데요. 첫 번째는 엔진오일필터 가장자리를 두르는 고무오링에 오일을 도포합니다. 


두 번째는 철캔타입 오일필터의 경우 오일필터 중간에 엔진오일을 주입해 필터 안쪽을 적셔주어야 합니다.


오일링을 도포하지 않은 않은채 오일필터를 장착하면 주행중 오일필터가 장착된 면에서 오일이 흘러나오거나 최악의 경우 엔진오일이 뿜어질 수 있습니다. 


그나마 순정오일필터는 오일필터를 두르는 고무패킹이 비교적 두꺼워 고무오링에 오일 바르지 않아도 별 문제 없지만 일부 사제오일필터는 고무패킹이 얇아 오일을 도포하지 않으면 오일필터가 주행중 빠지는 사고가 빈번했습니다. 



만약 성능 등의 이유로 사제오일필터 교환을 희망하는 경우 운전자는 정비사에게 반드시 고무오링에 오일도포를 해달라고 요구하세요.


또한 철캔타입 오일필터 가운데에 엔진오일 주입해야 하는 이유는 엔진오일 교환후 시동을 걸면 엔진오일은 오일팬->펌핑과정->오일필터 여과과정 거친 후->엔진 위쪽으로 오일이 공급됩니다. 


찰나의 짧은 시간이지만 그 시간동안 엔진 내부 부속품들이 오일이 없는 상태로 마찰되어 캠샤프트 등의 부품이 마모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맨 위 영상 보면 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 컨텐츠는 비싼 합성유 넣어라. 혹은 석션이나 에어 등 잔유제거 반드시 하라는 내용 없습니다. 단지 어떤 종류의 엔진오일로 교환하든 정비사가 FM대로 작업하는지 운전자들이 알아두는게 좋을거 같아서 작성한 컨텐츠입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가혹주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마 대부분은 급가속 급출발 급제동이 많이 포함된 주행 혹은 엔진회전수를 레드존(계기판 보면 아시겠지만 가솔린엔진은 통상 6500rpm부터 적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그게 레드존입니다)까지 끌어올려 주행하는걸 흔히 가혹주행이라고 할겁니다.


그렇지만 위의 가혹주행은 우리가 알고있는 아주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또한 엔진회전수를 단순히 레드존까지 올린다는 이유로 가혹주행이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엔진은 일정이상 회전수를 올리면 회전상승제한을 막는 퓨얼컷을 작동하는데 가끔 이구간까지 올린다고 해서 엔진에 데미지 입거나 하진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몰랐던 가혹주행조건은 무엇이 있을까요? 새차를 구입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량구입시 딸려나오는 정비지침서를 보면 가혹주행조건이 나와있습니다.


각 메이커마다 가혹주행조건이 조금씩 틀리지만 일반적인 가혹주행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짧은거리 반복해서 주행
2, 황사등 먼지가 많거나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을 자주 운행시
3, 공회전 장시간 하기
4, 더운 여름철 시내주행이 많을때
5, 영업용목적 차량
6, 추운날 냉간시동후 즉시 운행


등등 생각외로 많은 가혹주행조건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냉간시동후 즉시운행 등 몇몇항목은 우리가 평소에 많이 운행하는 항목입니다. 가혹주행 생각외로 많고 또 우리가 알게 모르게 많이 하는 편이죠^^;




특히 서울 등 대도시는 시내주행시 지 정체가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주행하는 차는 대부분 가혹주행조건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봐야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쉐보레 스파크의 경우 엔진오일 가혹주행 교환주기가 7500km, 통상교환주기는 15000km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동안 쭉 7500km에서 교환하다가 합성엔진오일 테스트겸 가혹주행이 많음에도 1만5천키로까지 엔진오일 교환하지 않으면 어떨까? 싶어서 일부러 엔진오일 교환을 1만5천키로까지 교환해보지 않았습니다.




윗 사진은 1만5천키로 동안 테스트한 윤활유입니다. 100% 합성엔진오일인데 보통 합성유가 광유보다 고온에서 점도유지 및 내구성이 좋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가혹한 주행에 자주 노출되면 수명이 짧아지게 됩니다. 주행거리 2만5천키로부터 4만키로까지 1만5천키로동안 가혹주행이 많았던 쉐보레 스파크 엔진오일 상태는 과연 어떠했을까요?


1, 엔진오일 소모가 눈에 띄었다.


쉐보레 스파크의 경우 제원상 3.75L의 엔진오일이 들어간다고 하지만 제 경험상 4L딱 넣어줘야 F선에 맞춰집니다. 저는 와인딩 서킷주행을 하기때문에 최대한 엔진오일을 F선에 맞추는 편인데요. 처음 엔진오일 교체할때 딱 F선에 맞춰진 엔진오일이 1만4천키로 주행후 엔진오일 체크해보니 L선 가까이 떨어져 있었습니다.


가혹주행이 많아서인지 1만5천키로 가까이 주행한동안 엔진오일이 적지않게 소모된듯 합니다. 엔진오일 소모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는데 엔진상태가 좋다고 해도 엔진회전수를 높이면서 주행할경우 오일이 증발하거나 산화되면서 소모됩니다.(요즘 엔진오일은 산화를 방지하는 방지제가 충분히 들어있긴 합니다) 아무튼 가혹주행이 많은 경우 엔진오일소모량이 많다는걸 확인했습니다.


2, 연비가 나빠졌다.


윗 연비표는 교환후 5천키로쯤 되는 시점부터 1만키로 되는 시점까지 적은 차계부입니다. 이때 연비는 평균적으로 리터당 20km/l가까이 나왔었습니다. 그리고......


교환주기 1만키로를 달성한 7월 중순 이후 연비가 떨어지기 시작했는데요. 사실 7월부터 연료첨가제 테스트를 했었습니다. 연료첨가제가 연비하락에 일조했을수도 있겠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비하락 원인이 연료첨가제 때문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지났기때문에 연비가 떨어졌다라고 단정짓긴 힘들거 같구요. 제 생각에는 오일을 걸러주는 오일필터 수명이 다되어서 그런듯 합니다. 연비저하와 함께 가속력도 약간 둔화된 느낌이고 전체적으로 반응이 무거운 느낌이었습니다.


 합성유 수명에 대해서 자동차 커뮤니티나 정비사 자동차관련 동호회 및 카페 그리고 엔진오일 취급업자등이 각기 다른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엔진오일 취급하는 튜닝샾이나 업자들의 경우 보통 합성유도 5천키로에 꼬박 교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반면에 일부 정비사나 동호회 등에서는 합성유로 1만키로 마다 교환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동안 7천5백 키로에서 교환하다가 1만5천키로까지 주행해보니 교환후 약1만키로 넘기면서부터 연비저하 및 가속력 둔화를 느낄수 있었습니다. 테스트 차량이 쉐보레 스파크라서 다른차에도 동일한 조건이 적용되는지는 알수 없습니다. 윗 사진은 최근에 교환한 엔진오일입니다. 위 엔진오일도 100% 합성유이고 점도는 0w-40입니다.


다만 가혹주행조건이 비교적 많았음에도 100% 합성엔진오일의 경우 1만키로 부근까지 연비 및 성능이 유지되는걸 직접 체험했고 서킷주행이나 와인딩등 아주 가혹한 주행만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5천키로마다 엔진오일을 교체할 필요는 없습니다.


더군다나 요즘 친환경 정책으로 정비사업소에서 취급하는 엔진오일 또한 산화방지제 및 점도안정제등이 많이 첨가되고 있는 추세이고 저점도임에도 고온에서 점성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하니 튜닝안한 순정차량의 경우 5천키로마다 합성유로 교체하는건 비용낭비라고 생각됩니다.


1만5천키로 동안 엔진오일 보충없이 계속 주행한 쉐보레 스파크 지난주 엔진오일을 교체했는데요. 교체하기전 엔진오일 플러싱제를 주입해 보았습니다. 엔진오일 플러싱제 효과는 어떠했을까요? 다음 포스팅때 언급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