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영상은 이 글을 토대로 르노삼성 파업 이슈에 대해 다뤄본 영상입니다. 영상의 구독을 눌러주시면 더 좋은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르노삼성자동차가 노조 파업으로 참 시끄럽습니다. 파업 이유는 르노삼성 노조와 사측이 임금협상 등 여러 가지 쟁점이 합의가 안 되고 있기 때문이죠. 지금도 포털 뉴스란에는 르노삼성 파업 기사를 메인으로 띄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르노삼성은 과거 노사무분규 사업장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박근혜 정부시절에는 국내에서 모범사업장으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매해 파업이 계속되었던 현대기아차하고 많이 비교가 됐죠. 당시 르노삼성이 배포한 노사무분규 사업장에 관한 보도자료를 배포하기도 했는데요 자세한 보도자료 내용은 위 영상 47초부터 보시면 나옵니다.

 

그랬던 이 기업이 현재는 닛산 로그 물량배정 중단 및 공장 가동중단 심지어 르노의 한국시장 철수설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르노삼성 노조와 사측이 한치의 양보도 없이 극한으로 대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임금 때문입니다. 노조는 기본급을 10만664원 인상을 주장한 반면 사측은 기본급 대신 1720만원의 실적 인센티브를 제시했는데요 양측 모두 자기 입장만 내세워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르노삼성의 노사 대립은 최근에 발생한 일이 아닌 그 동안 해묵은 노사갈등이 수면 위로 터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 르노삼성의 노사 대립이 단순히 급여 인상 문제만은 아니라고 합니다.

역대 최대 흑자에도 최저임금 미달...강제 전환배치, 외주화 등

 

지난 2011~2012년 르노삼성차는 내수판매 부진 등으로 크게 부진했던 시기였습니다.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해 많은 근로자들이 회사를 떠났습니다. 그러다가 2013년부터 다시 흑자로 돌아서서 2016~2017년 사상 최대 실적과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실적은 당시 업계 평균치를 훨씬 웃도는 수준을 기록했는데요 그 비결은 2016년 SM6등 신규 모델 출시 그리고 2014년부터 도입한 닛산의 중형 SUV 모델 로그 수출물량 증대 등을 이유로 꼽을 수 있겠죠.

 

그렇다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2016~2017년 당시 르노삼성 임단협 합의 내용은 어땠을까요? 지난 2015년부터 2017년 노사 양측 합의안은 위 영상 3분15초부터 보시면 나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사상 최대의 실적을 기록한 2016~2017년의 경우 근로자들에게 돌아가는 보상이 무언가 좀 아쉬워보이죠? 르노삼성 노조는 이러한 근거를 내세워 회사측이 사상최대 실적에도 근로자에 대한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르노삼성 전체 근로자 중에서 법정 최저임금(8350원)에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을 받는 근로자가 상당하다고 하네요.

 


여기에 노사 양측이 대립하는 사안이 전환배치와 인력 외주화 그리고 노동강도 완화 등인데요. 사측은 인력의 20%를 파견근로 등 외부인력으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노조측은 반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르노삼성 노조는 다른 완성차 업계와 비교해 연봉이 낮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경우 근로자 평균임금이 9200만원 인데 반해 르노삼성은 7800만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비교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단순 비교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경우 1968년에 설립된 비교적 오래된 기업이라 근속년수가 30년 이상 재직한 직원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반면 르노삼성의 경우 1995년 3월에 삼성자동차가 설립됐고 2000년 르노가 인수하면서 르노삼성으로 사명이 변경됐죠. 1995년부터 근무해서 지금까지 재직한다고 가정해도 껏해야 25년을 넘지 못합니다.

이 외에도 다른 완성차 공장과 비교해 가혹한 근로환경 개선도 노조가 요구하는 사안인데요. 르노삼성 부산공장은 1라인에서 시간당 생산량(UPH) 60~66대를 생산합니다. 참고로 현대차는 공장마다 다르지만 승용차는 보통 26~48대 정도를 생산하고요. 한국지엠 창원공장은 시간당 51대 쌍용차 평택공장의 경우 렉스턴 생산라인이 시간당 23대를 생산하다고 합니다. 

 

시간당 생산량도 많은데 투입되는 모델도 7개로 르노삼성 부산공장이 가장 많죠. 보통 완성차 업체들은 한 라인에 투입되는 모델이 5개 정도가 마지노선입니다. 그 이유는 오조립 등 조립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르노삼성 SM6, QM6 등을 구매했던 구매자분들의 품질 불만이 의외로 높은 편이죠. 

이번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경기침체로 청년층 실업자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죠. 광주형 일자리의 최대주주라고 할 수 있는 현대차의 경우 사측이나 노측 모두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대차 사측이 반대하는 이유는 임금과 단체협약 유예 조항인데요. 이 조항이 본래 5년 동안 유예되는걸로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민주노총등 노동계의 반발로 5년 대신 생산량 35만대 달성까지로 조항을 수정한겁니다.


이 과정에서 광주시는 현대차 사측과 협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노동계의 요구에 따라 조항을 수정했다고 합니다. 가능하면 저임금으로 노동투쟁없이 원하는 물량을 생산하고 싶은 현대차 입장에서 조항 수정은 받아들이기 힘들었겠죠. 아마 내심 노동계 요구만 들어준 광주시를 원망하고 있을 겁니다.


또한 광주시는  의결사항 수정안 3안 현대차에서 제시한 거라고 주장햇지만 현대차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노동계는 왜 광주형 일자리를 반대할까요? 바로 울산공장 등 다른 현대차공장 대비 임금 수준을 낮게 책정했기 때문입니다. 광주형 일자리가 예정대로 추진되면 향후 현대차 노조의 임금협상에서도 불리하게 돌아가기 때문이죠.


민주노총 뿐만 아니라 현대차의 핵심지역이라고 볼 수 있는 울산에서도 광주형일자리가 달갑지 않은데요.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궤도에 안착할 경우 생산물량을 광주 등 다른 저임금 공장에 빼앗기게 되고 이렇게 되면 울산공장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울산시 지자체는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공식 반응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를 내심 반대하고 있는데요. 제 지인 중에 울산시 지역 신문기자가 있는데 울산시에서도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적으로 안착될 경우 세수감소 근로자이직 등을 우려하고 있다고 하네요.


아무튼 광주형 일자리 전 개인적으로 찬성합니다. 다만 노측과 사측의 대립이 크고 여기에 광주시가 협상을 너무 서둘러서 발표하는 문제가 드러나면서 광주형 일자리가 제대로 추진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광주형 일자리 보면서 느낀점이 있다면 공무원들의 미숙한 협상능력과 운영이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너무 단기간에 성과를 내려는 것 말이죠. 특히 시장이나 구청장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