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210626041053339

 

美구조공학 전문가의 붕괴진단 "바닷물 입자 스며들어 구조약화"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미국 플로리다주 아파트 붕괴 참사와 관련해 지속적인 건물 침하와 함께 수십 년간 바닷물이 건물에 스며들었을 가능성도 사고의 원인일 수 있다는 미국 현

news.v.daum.net

 

해운대 엘시티나 송도신도시에 세워진 거대한 건물들...하늘과 맞닿을 듯한 기세로 세워진 고층 건물은 탁 트인 조망을 보장한다.

 

그런데 바닷가에 건물을 세우면 부식을 유발하는 바닷물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방지해야 되는데 이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무슨 말이냐 하면 건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외벽이 갈라지기 시작한다. 갈라진 틈이 얕으면 별 문제 없지만 갈라진 틈이 깊어지면서 철근이 노출하는 그 순간부터 철근과 염분이 접촉하게 되면서 철근의 부식을 유발한다.

 

꼭 바닷물이 닿아야할 필요는 없다. 바닷가는 365일 내내 해풍이 불고 해무(바다안개) 등의 기상 현상도 자주 발생하는데 해풍과 해무 모두 염분이 포함된다. 철근이 해풍과 해무에 닿아도 부식이 유발된다.

 

 

부식을 유발하는 바닷물 혹은 소금기에 항상 노출되는 바닷가는 부식 속도가 내륙보다 빠를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건물의 붕괴될 위험도 높아지고 안전진단에서 높은 등급을 받을 확률도 낮아진다.

 

전문가들은 플로리다 아파트 붕괴 또 다른 원인으로 지반 침하를 꼽고 있다. 붕괴된 아파트 지반은 1년에 2mm씩 지반이 침하됐다고 하는데 이는 곧 지반 자체가 약했다는 증거다. 지반이 약할수록 건물도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의 바닷가 신도시의 경우 바닷물을 매립하거나 연약한 지반에 건설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건물 세우기 전 지반은 단단하게 다지는것이 필수다. 그런데 이 공정이 부실하면 아무리 건물을 튼튼하게 지어도 건물이 붕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이유로 제주도의 재건축 기한이 내륙보다 짧은 편이다. 내륙의 건물은 재건축 기한이 최소 30년 이상인데 반해 제주도는 20년 지나면 재건축이 가능하다.  

 

그나마 우리나라 고층 건물들은 대부분 철근과 함께 H빔도 사용하기 때문에 철근만 사용했던 플로리다 아파트보다는 튼튼할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바닷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송도신도시 엘시티 등 해안가 신도시들은 아무래도 건물 부식 위험이 내륙보다 높은게 사실이다. 이번 붕괴사고를 반면교사로 삼아 국내 해안가에 지어진 고층건물들의 안전진단이 철저해야 한다.

 

#플로리다아파트붕괴

#미국아파트붕괴

#부실공사



오늘 오전에 제가 서울 송파쪽에 볼일이 있어 차타고 송파구에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제가 사는곳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입니다. 저는 정왕동에서 서울 동쪽지역인 송파구, 강동구 일대로 갈때 이번에 새로 개통한 제3경인고속화도로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도리분기점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갈아타는 편입니다.


그런데 볼일을 마치고 다시 되돌아올때 제3경인고속화도로에서 의아한 광경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앞서가던 차들이 전부 3차선으로 붙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처음에 사고가 났나? 라는 생각을 했지만 이네 1, 2차로를 막고 도로 보수공사 하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도로공사하는 지점이 도리분기점에서 인천공항쪽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며 연성IC 부근에 있었습니다. 제3경인고속화도로가 8월부터 유료로 바뀐다고 하는데 그거 때문에 공사하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도로 확장공사 및 인터체인지 신설이라고 보기에는 정황이 맞지 않았습니다.




공사장을 지나서 자세히 보게 되었는데 한쪽에 아스팔트가 쌓여있고 도로포장용 롤러가 지나다니면서 도로를 포장하고 있더군요.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개통된지 이제 겨우 두달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원래 이 도로는 정식개통시기가 2010년8월 이후로 알고 있었는데요. 갑자기 5월달로 앞당겨 개통했습니다. 이거때문에 일각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둔 민심수습용 개통 아닌가 하는 의혹도 제기되었습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입장에서 도로개통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런데 이왕이면 튼튼히 만들고나서 확인을 철저히 한후 개통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개통된지 2년도 아니고 겨우 두달만에 다시 재포장공사를 해야될정도면 부실공사가 아닐지 의심이 듭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