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3일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101번 고속도로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X가 주행도중 갑자기 미끄러지면서 중앙분리대 들이받고 옆에서 주행하던 마쯔다 차량을 가격했으며, 뒤따라오던 아우디 차량이 테슬라 모델 X 뒤쪽을 들이받은 큰 대형사고입니다.


과거에도 전기차 화재사고는 있었지만 이번 사고가 크게 알려진 이유는 화재폭발로 인해 운전자가 사망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ABC 뉴스에 따르면 테슬라가 주행중 미끄러지면서 중앙가드레일을 들이받고 폭발했으며, 테슬라 옆과 뒤에서 주행하던 다른 차량도 사고에 휘말렸습니다.



저는 이번 사고가 전기차의 최대단점 화재폭발이 드러난 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전기차 중에서 테슬라의 모든 모델은 달리는 시한폭탄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테슬라가 효율성을 이유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때문입니다. 현대기아차 포함해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은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반면 테슬라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자동차에 탑재하고 있습니다. 


테슬라 스타필드 전시장에서 절개된 자동차모형을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리튬이온 배터리가 차체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데요. 배터리 안쪽 내부를 보면 건전지와 외형이 비슷한 배터리 수백만개가 밀집되어 있습니다. 


테슬라가 배터리를 차체 바닥에 설치한 이유는 무게 중심을 낮춰 운동성능을 높이고 배터리 설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한번 충전시 주행가능서리를 늘릴 수 있죠.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폴리머보다 수명이 길고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한가지 있는데 리튬폴리머보다 화재폭발 위험이 높다는 겁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음극과 양극 그리고 전해질이 액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부충격 등으로 분리막에 이상이 생기면 발열과 함께 폭발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이 전해질 액체도 인체에 해롭고 전해질액 자체가 폭발할 수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는 충격에도 끄덕없도록 배터리 감싸는 외장재가 금속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에 비해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로 전해질액이 샐 염러가 없어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하지만 리튬이온보다 충전할 수 있는 에너지양이 낮고 수명도 짧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완성차 업체들은 혹시나 모를 대형사고에 문제 생기지 않도록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베터리 크기도 테슬라보다 작게 설계했습니다.


1회 충전가능거리가 테슬라가 타업체 전기차보다 대체로 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보통 내연기관차량은 화재진압이 상당히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런데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량보다 화재진압이 더욱 어렵습니다.


테슬라 모델x 화재폭발사고 외신기사들을 쭉 보니 화재를 진압한 소방관들이 배터리 폭발로 화재난 모델X 화재에 손을 쓰지 못했다고 합니다.


전기차 화재의 경우 배터리가 원인이면 배터리 발화 온도를 낮춰야 하는데요. 소방관들은 테슬라 화재진압을 위해 물 3000갤런을 동원하거나 배터리가 스스로 에너지를 소진할 때까지 전소 등의 두가지 방안을 놓고 고민한 끝에 결국 후자의 방법을 택했으며, 6시간 동안 화재가 꺼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전기차는 화석연료를 단 한방울도 쓰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친환경차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 화재폭발 사고는 전기차의 최대 단점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볼 수 있죠.


이 사고를 교훈삼아 전기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전기차전용 소화기  등의 안전장비를 필수로 장착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테슬라가 배터리도 그렇고 사고 원인이 된 자율주행기술도 개인적으로는 충분히 검증없이 바로 양산차에 탑재하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에 테슬라 모델3 차량이 연못에 빠져 운전자가 숨진 사고가 있었는데 이 사고도 자율주행기술 때문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죠.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