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항공기 분야는 잘 모른다. 단지 보잉 737이 세계에서 수요가 많은 항공기종이고 중단거리노선에 적합한 소형항공기라는 점만 알고 있다.


보잉 737은 196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여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물론 1960년대 개발된 항공기를 그대로 생산하는 것이 아닌 수많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변경되고 업그레이드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여기에 모델마다 비행기 크기 차이도 있다.


현재 가장 최근에 개발된 보잉 737은 이번에 사고난 737 맥스 8 항공기와 조금더 큰 맥스 9 그리고 맥스 10 항공기이다. 이들 항공기 모델들은 맥스시리즈로 알려져 있는데 2015년 연말에 완전히 공개된 신형 항공기이다.


항공사들이 항공기 제작업체에 요구하는 일순위조건은 항속거리이다. 자동차로 예를 들면 높은 연비를 요구하는 것인데 높은 항속거리는 항공사의 이익에 직결되는 만큼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 민항기 제작업체도 항공사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보잉 737은 항공사들이 원하는 높은 항속거리를 갖춘 베스트셀러 여객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모델은 과거나 지금이나 거리가 짧은 중단거리 노선에 최적화된 소형항공기이며 판매실적도 보잉사 모델 중에서 가장 많다.


그런 보잉 737 그것도 신형 모델이 1년도 안되어 두 번이나 추락사는 사고를 겪으니...보잉사 입장에서는 풍전등화라고 볼 수 있다.


보잉은 사고난 에티오피아 지역에 관계자를 급파해 사고원인은 밝히는 한편 기동확대특성시스템(MCAS)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했다고 하는데 문제는 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했다고 해서 비행중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없다.


사고만 나지 않았을 뿐이지 보잉 737 맥스를 운행한 기장들은 기체 조종이 어렵고 자동항법장치 작동중 기수가 갑자기 아래로 향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전 737 모델에서는 이러한 자동항법장치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이전모델인 737NG 시리즈는 유압 이상으로 737 맥스와는 다른 결함이다) 왜 유독 737 MAX에서만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까?


내 생각이지만 보잉 737은 1960년대에 처음 제조된 모델인 만큼 737 이름을 버릴 완전한 신형 항공기가 필요하다고 본다. 물론 그 동안 신모델이 출시됐지만 1960년대 개발한 737의 기본틀을 벗어나진 못했다.


즉 이번 사고는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하드웨어 부품과 소프트웨어는 첨단이지만 동체 설계는 1960년대 보잉 737 설계를 그대로 따른 부조화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자동차로 예를 들면 쏘나타 2 이전 구형 모델을 전자장비와 철강부품만 업그레이드 시킨채 그대로 판매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내 생각엔 이번일을 계기로 737을 완전히 단종하고 737을 대체할 완전한 신형 협동체 항공기를 보잉이 빨리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보잉의 주력 판매모델이 737인데 이번 사건으로 보잉이 꽤 많은 타격을 받을 듯... 



아마 올해 상반기 중 가장 주목받는 신차는 단연 쏘나타일겁니다. 실제로 보배드림 등 자동차 커뮤니티나 각 커뮤니티 자동차 페이지 그리고 유튜브 등을 보면 신형 쏘나타 관련 컨텐츠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신형 쏘나타가 어떤 상품성을 갖추고 출시될지 궁금합니다. 얼마전에 신형 쏘나타로 추정되는 위장막 차량 주행하는 장면도 보았는데요. 마침 LF쏘나타 하이브리드와 잠깐 나란히 달리는 모습을 뒤에서 보기도 했는데요. LF쏘나타보다 전고가 낮아보이고 날렵해 보였습니다.


그리고 최근 신형 쏘나타 양산형 차량 앞뒤모습이 완전히 공개됐죠. 공개된 디자인을 보니 4도어 쿠페라고 봐도 될 만큼 LF쏘나타보다 더욱 공격적이고 날렵한 디자인을 갖췄습니다.


일단 디자인 앞뒤가 완전히 공개됐습니다. 그리고 쏘나타 디자인에 대해 언론매체와 블로거 그리고 유튜브 크리에이터 분들이 언급하고 있는 만큼 디자인이라는 요소는 제외한 신형 쏘나타의 예상 포인트를 짚어보겠습니다.


1번 경량화




오늘날 자동차가 성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가 뭐냐면 바로 연비입니다. 이미 우리나라 포함해 전세계 각국은 판매되는 자동차 모델 평균연비를 서서히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1975년부터 제정한  자동차 기업 평균연비제도(CAFE)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를 통해 자동차 브랜들이 미국시장에서 파는 자동차 평균연비를 끌어올리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성차 업체들은 차종과 관계없이 자동차 연비를 조금이라도 더 올리기 위해 기를 쓰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2013년부터 최근까지 출시된 현대차의 미흡한 점 하나 짚어보자면 자동차 공차중량이 무거워졌다는 것입니다.



현재 판매되는 LF쏘나타도 전작 YF쏘나타보다 조금 더 무거운 상태입니다. 자동차가 무거울수록 구동시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곧 연료소비가 증가로 이어집니다.


그런데 최근 출시한 현대차 대형 SUV 모델 팰리세이드부터 공차중량이 획기적으로 가벼워졌습니다. 팰리세이드 공차중량은 1,870~2,030kg으로 팰리세이드보다 한 등급 낮은 현대 싼타페와 비교시 70~100kg만 무거워진 수준에 그쳤습니다.


현대 신형 쏘나타 크기 제원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 판매되는 쏘나타 뉴라이즈와 비슷한 수준의 크기라고 가정한다면 공차중량은 쏘나타 뉴라이즈보다 더 가벼워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2번 운전자중심 + 스포츠주행



쏘나타는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패밀리세단입니다. 부드러운 서스펜션과 가벼운 스티어링휠 감각 그리고 동승자들이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넓은 실내공간을 갖춘 패밀리세단의 정석이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이러한 쏘나타를 구매하는 연령층이 젊어지고 있습니다. 약 10년 전만 해도 자녀가 있는 30-40대 가장들이 쏘나타 등의 패밀리세단을 구매했지만 최근에는 결혼하지 않은 독신자 심지어 성인이 된지 얼마 안된 20대 초중반 오너들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운전자들이 젊을수록 경쟁 모델과 성능 등을 자연스럽게 비교하기도 하는데요. 최근에는 무제한 속도로 달릴 수 있는 서킷이 생기면서 극한 주행환경에서도 버틸 수 있는 주행성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새로운 모델이 출시될 때마다 스포츠성향을 가미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폭발적인 가속력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현대차는 YF쏘나타 LF쏘나타는 2.0 가솔린 터보엔진을 탑재한 고성능 모델을 출시했죠. 그리고 신형 쏘나타는 2.5L 가솔린 터보 엔진을 탑재한 고성능 모델을 출시할 에정인데요 최고출력은 295마력으로 예상됩니다.


3번 2.0 CVVL 엔진은 여전히 대세




쏘나타는 앞서 언급한 2.5L 가솔린 터보 엔진 외에 2.0 CVVL 엔진 1.6L T-GDI 엔진 그리고 1.6L 디젤 엔진 등 총 4가지 파워트레인을 탑재할 예정이라는데요. 향후 LPG 모델과 하이브리드 등 신규 파워트레인이 추가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일단 공개된 4가지 엔진 중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을 엔진은 단연 2.0 CVVL 엔진이라 생각됩니다. 왜냐면 쏘나타 뉴라이즈 그리고 구형 LF 쏘나타에서도 2.0 CVVL 판매 비율이 높습니다. 


2.0 CVVL 판매비중이 높은 이유는 아직까지 중형차 = 2.0 이라는 고정관념이 굳건한 데다 무난하게 운전할 수 있는 이동수단 목적으로 구매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왜 2.0 CVVL 엔진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을까요? 사실 2.0 CVVL 파워트레인이 연비나 출력이 특출나게 좋진 않습니다. 하지만 소모품비용을 포함한 유지비가 비싸지 않고 관리도 수월합니다. 가솔린 터보 엔진이나 디젤 엔진처럼 예열 후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고장이 발생해도 부품값이 그렇게 비싸지 않죠.


이제 사전계약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세단 대신 SUV가 대세라곤 하지만 쏘나타는 쏘나타라고 생각됩니다. 10년 전 YF 쏘나타가 처음 출시될 때 한달에 국내에서만 2만대 넘게 판매되기도 했었죠. 


신형 쏘나타는 YF쏘나타 만큼의 판매량을 기록할 수는 없을 겁니다. 쏘나타 아랫급인 아반떼 그리고 쏘나타 위급인 그랜저의 아성이 막강하기 때문이지요.


그래도 신차출시 후 3개월 정도까지는 월 1만대 이상 판매될 거라 예상합니다. 그랜저IG 나오기 전까지는 쏘나타가 월별 단일차종 최다 판매량을 기록한 적이 많았으니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