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인터넷 뉴스등으로 SK엔카 매물의 포니기사가 나왔었습니다. 엔카에서 매물로 나왔던 포니의 중고가격은 20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으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중형차 쏘나타에 육박하는 아주 비싼 몸값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매우 귀한 차량이기 때문이지요.
누구나 한번쯤 들어보았을법한 자동차명 포니 포니는 단순히 현대자동차의 첫 독자모델이 아닌 국내 최초로 국내자동차회사에서 독자출시한 모델입니다. 비록 파워트레인과 플랫폼은 일본 미쓰비시의 것을 들여왔지만 해외메이커가 만든 모델을 그대로 조립해서 판매한것이 아닌 현대자동차에서 설계한 고유독자모델이라는 것만으로도 포니가 국내자동차업계에서 시사하는 바는 큽니다.
포니는 1976년부터 출시한 포니1과 포니1의 페이스리프트격이라고 볼수 있는 포니2 두가지가 있습니다. 포니2가 후기형이며 제가 시승한 포니모델도 포니2입니다. 포니2는 1200cc엔진과 1400cc엔진 두가지를 선택할수 있는데 제가 시승한 차량의 엔진은 1400cc 4기통 캬브레터 엔진입니다.
날렵한 패스트백 스타일읠 갖춘 포니의 익스테리어
지금 국산차업계의 경우 메이커에서 자체적으로 디자인한뒤 자동차를 개발하지만 불과 10여년전만 해도 우리나라 차량을 유명한 외국 자동차디자이너가 디자인은 맡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더욱이 자체개발이 전무했던 국내자동차회사의 초창기 시절에는 외국디자이너가 차를 디자인한 비중이 높았습니다.
포니의 경우 이탈리아 출신의 유명한 자동차 디자이너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포니를 디자인할때 뒷 해치경사가 완만하고 평평한 패스트백 디자인이 크게 유행했던 시기였습니다. 당시 그가 디자인한 차량들 대부분이 포니와 유사한 디자인 이었는데요. 포니보다 2-3년 앞서 출시된 골프와 시로코가 포니와 비교적 유사한 디자인이었습니다.
크롬도금된 휠캡의 경우 전 차주분이 착용하셨다고 합니다.
단순하고 수동적인 포니의 인테리어
포니2 시승해보니......
관리가 아주 잘된차이긴 하지만 30년 가까이된 올드카이고 해서 다른 현역차량들처럼 가혹한 주행등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속도도 가능하면 80km/h이상 달리지 않았구요. 어차피 포니2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상징적인 차량이니 좀 주행성능을 체크하는건 무의미하다고 생각됩니다.
시승해보니 생각외로 운전하기가 편했습니다. 저회전부터 토크가 풍부해서 현재 제가 타고있는 스파크보다 출발히 쉽고 편하며 언덕에서 정차하다 출발해도 힘이 딸린다는 느낌이 별로 없었습니다. 서스펜션은 전반적으로 부드럽지만 그렇다고 해서 흔히 물침대라고 부르는 수준까지는 아닙니다. 그리고 의외로 핸들을 좌우로 꺾고 놓을때 핸들복원력이 빨랐습니다.
다만 아무래도 공간이 좁다보니 헤드룸공간이 넉넉치 않고 시트는 푹신했지만 제 체격에는 약간 불편했습니다.
미쓰비시의 기술력을 빌려 자체개발모델을 성공한 현대자동차의 포니는 이후 X카 프로젝트로 탄생한 포니엑셀(프레스토)가 탄생하면서 바통을 서서히 넘기고 1988년 단종되었습니다.(포니픽업은 1990년까지 생산) 그러나 해외에서 포니의 명칭은 X-2카 즉 현대 뉴엑셀 수출형까지 쓰였습니다. 이후 현대자동차는 꾸준히 자동차부품을 독자개발하고 국산화하면서 현재 현대자동차는 글로벌에서도 아주 잘 알려진 세계적인 자동차메이커가 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 포니시승기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레드존의 자동차 이야기 > 레드존의 자동차시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보레 올란도 LPGI 서울에서 태백까지 연비 측정해 본 소감 (0) | 2011.09.30 |
---|---|
6기통 실키식스엔진 안부럽다. 4기통 LPGI엔진이 탑재된 쉐보레 올란도 시승기 (7) | 2011.08.30 |
우리나라의 첫 고유자동차모델 포니를 시승했습니다. (14) | 2011.07.29 |
새롭게 바뀐 르노삼성 All - New SM7 시승기. (2) | 2011.07.25 |
르노삼성의 두번째 대형세단 All - New SM7의 특징과 새로 추가된 기능 (0) | 2011.07.24 |
쉐보레 볼트는 전기차가 맞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출시하려면 대대적으로 보완해야...... (8) | 2011.07.20 |
-
호오~ 2011.07.29 16:57
우와 진짜 부럽네요 ㅠㅠ 저도 올드카를 몰아보고 싶은데 주위에는 전혀 그런 연고가 없네요 ㅎㄷㄷㄷ
큰할아버지 께서 88년식 코란도를 가지고 계셧는데 이거라도 받아서 타고 싶었지만... 제가 고1때 오르막에서 파킹브레이크를
체우는걸 깜빡하셔서 논에 그대로 굴러떨어졌다더군요 ㅎㄷㄷㄷ....(그것도 5m나 되는 절벽에서)
폐차하고 갤로퍼2 숏밴을 사셨음 ㅠㅠ-
자격증무료자료받기클릭 2012.06.01 22:56
포니글 잘 보았습니다.. 아래 자격증관련 정보도 있네요..
유망 직종 및 모든 자격증에 대한 자료를 무료로 제공 받을수 있습니다..
유망 자격증을 종류별로 무료 자료 신청가능하다고 하네요..
신청 해보세요 -> http://license119.com/newki
-
-
fluteer 2011.07.30 09:41
포니2를 살 정도면... 이걸 타려고 사는 사람은 없을 거고 올드카 수집 목적 정도일텐데
왠만큼 부자 아니면 사기 쉽지 않겠네요 ^^;; 2천만원이면 아반테 1대 값이군요 ㅎㅎ -
===> 2011.07.31 15:42
1439cc 엔진은 포니 1 때부터 이미 적용되었던 엔진입니다. 포니는 1237cc와 1439cc의 두 가지 배기량이었습니다. 처음에는 1.2만 나왔다가 나중에 1.4가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포니 2의 수출형 모델에는 1597cc 엔진도 적용된 바 있습니다.
포니 1과 포니 2의 차이점은 포니1은 해치백이 아니며(3도어 제외) 포니 2는 해치백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포니 2와 포니 1의 차이가 크지는 않습니다만 실제로는 패널이 다른 부분이 많고, 바닥판이 같기는 하더라도 당시에는 그 정도면 "풀 모델체인지"로 보았습니다. 즉, 포니 2는 단순한 후기형이 아니라 포니 1의 풀체인지 모델입니다. (요즘 기준으로는 페이스리프트 수준에 불과합니다만.)
포니 1에서 해치백이 채택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아마도 당시까지는 해치백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 아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포니 1과 포니 2는 1970년대 중반의 미쯔비시 "랜서"(당시 세대 모델)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둘 다 이탈리아의 죠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담당했지요. 현대 차는 1985년에 나온 X-카까지 쥬지아로 디자인을 사용했습니다. -
===> 2011.07.31 15:48
포니의 전 후면범퍼가 유난히 툭 튀어나와 있는데 이당시에는 수출형과 동일하게 국내에 출시된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 이것은 사진의 모델이 "포니 2 CX"라는 모델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포니 2가 있고 이후 나온 포니 2 CX가 있습니다. 포니 2 CX에서 "CX"는 캐나다 수출형이라는 뜻입니다. 당시에 그런 차가 많았던 것이 아니고, 포니 2 CX 시절에는 단지 포니 2 CX만이 유일하게 그런 종류의 차였습니다.
비슷한 것이 적용된 것은 1985년의 "스텔라 CXL"입니다. 포니 2 CX와는 상당한 시간차가 있습니다. CXL 역시 캐나다 수출형 럭셔리라는 뜻입니다. 이후 스텔라 자체의 범퍼가 거의 모두 그 툭 튀어나온 범퍼로 교체되었으므로 자연히 CXL이라는 모델은 나중에 없어졌습니다만 일단은 그렇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1986년에는 "엑셀 AMX", "프레스토 AMX"라는 것들이 나왔는데, 이는 "미국 수출형"이라는 뜻입니다. American Export라고 무식한 말을 만들어서 그냥 줄인 것이죠. 이전의 Canadian Export와 같은 식입니다.
이 모델들은 모두 "수출형을 그대로 내놓은 것"이 아닙니다. 그럴 리가 있겠습니까? 단순히 수출형에 들어가는 범퍼 모양을 적용하고 일부 내용을 고급화해서 내놓은 상품에 불과했습니다. 마케팅적인 의미가 강했습니다. -
bikbloger 2011.07.31 19:13
본문내용에 오류가 있습니다.
먼저, 카세트데크 있습니다. 라디오 주파수 표시하는 부분에 카세트 테이프를 대고 쭉 밀어주면 테이프의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주파수 표시 부분의 왼쪽에는 EJECT 버튼, 오른쪽에는 REW와 FF 버튼이 있습니다. 테이프가 없었다면 이 버튼이 필요없었겠죠? 어렸을 때 제가 카세트 테이프 넣고 빼다고 고장 내봐서 잘 압니다 ^^;
그리고 엔진룸에서 엔진 위에 가장 크게 원형을 자리잡은 것은 에어클리너 케이스고 캬브레터는 그 아래쪽에 있는거 아닐까 싶습니다.
어렸을때 맨날 엔진룸 열어봤는데... 그 때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