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국산차를 소유하다 보면 휠하우스 쇼바마운트 중심으로 번지는 녹 때문에 위험을 느끼시거나 속상한 경험을 하신 오너 분들이 적지 않을 겁니다. 현대기아차는 물론 대우차, 쌍용차 등 르노삼성을 제외한 나머지 국산차는 부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습니다.

 

사실 부식은 제조사가 원가를 들여서 방청작업을 하면 영구적으로 부식이 방지될 수는 없어도 부식 진행을 최대한 늦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을 설립한 최대 목적은 이윤이며 기업은 1원 이라도 이윤을 내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합니다. 인터넷에서 네티즌들이 좋지 않게 보는 원가절감은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이윤을 증대시키는 방법이고요.(사실 원가절감은 국산차는 물론 수입차 또한 다 합니다)

 

 

허나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그 동안 해외 고객들과 비교 시 차별을 받아온 건 사실입니다. 지금이야 현대기아차 중심으로 워낙 욕을 먹어서 그런 지 아연도금부터 시작해서 언더코팅 언더커버 최근에는 4세대 어드밴스드 에어백까지 적용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십시오. 사실 이렇게 되는 경우가 흔치는 않지만 저런 상태 그대로 주행하면 안전성 측면에서 큰 문제가 있겠죠. 이런 차들은 가능하면 운행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국산차 업체들이 고객들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일 수도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국내 수입차 판매량이 작년 한 해 20만대를 육박하고 올해는 215천대 까지 판매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수입차 이상의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방청에 신경을 쓰고 있는 듯 합니다. 아직까지 국산차와 수입차 가격 격차가 있지만 대부분 딜러제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수입차 판매 특성상 비공식 할인이 크다는 장점도 있지요.(이 비공식 할인 대부분은 딜러들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정작 딜러들은 울상이지만......)

 

요즘 국산차들 보면 점진적으로 언더코팅이 확대 적용되면서 방청보다는 공기역학이 목적이지만 언더커버 또한 확대 적용되면서 하부 마감과 방청 수준은 꽤 높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직 미흡한 부분도 있습니다.

 

이너왁스는 무슨 역할을 할까?

 

 

차체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것은 언더코팅입니다. 하지만 차체 내부에서 수분이나 염분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고이는 경우는 이너왁스라는 방청제가 부식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너왁스는 다른 말로 캐비티왁스 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며 대표적인 이너왁스 제조업체로는 뷔르트입니다. 예전에는 록타이트에서도 제조된 걸로 아는데 요즘은 판매를 안 하더군요. 이너왁스가 도포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도어 안에 패킹된 고무 또는 차체 하부의 구멍에 손가락을 넣은 후 끈적한 점액 물질이 묻거나 흘러내리면 이너왁스가 도포된 경우고 그렇지 않다면 도포가 되지 않은 겁니다. 제차 아반떼 쿠페는 당연히 이너왁스 도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따로 이너왁스 방청 작업을 했습니다.

 

준중형차 기준으로 2통이면 충분히 이너왁스를 도포할 수 있으며 차체 하부 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 등 여러 부위에 도포할 수 있습니다.

 

 

하부에 있는 고무패킹을 빼고 일일이 도포 작업을 하는 장면입니다.

 

 

이 외에도 철판과 철판에 접합된 부분도 도포해주면 좋다고 하네요.

 

 

트렁크 내장재 들어내고 도포를 하는 장면입니다.

 

 

마지막으로 도어 틈새 그리고 도어 패킹고무 떼고 그 안에도 도포해 줍니다. 차체는 멀쩡한데 도어가 부식되는 사례도 적지 않죠

 

이너왁스 도포를 하지 않은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이너왁스를 제대로 도포하지 않으면 가장 흔한 부식 사례는 바로 후륜 휠하우스 부식입니다. 오래된 국산차를 소유하고 계신다면 아마 대부분 알고 계실 겁니다. 사실 이건 유입된 수분이나 염분이 제대로 빠지지 않아서 발생한 건데요. 이너왁스 제대로 도포했다면 그래도 녹이나 부식이 발생할 확률을 낮출 수 있을 겁니다.

 

내부에서 발생한 부식의 경우 보통 암세포나 알레르기 피부병처럼 차체 내부에서 울룩불룩 튀어나오기 시작하면서 점차 부식 범위가 확대되어 결국 차체 외부까지 퍼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식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 이너왁스 도포가 필요한데요.

 

 

신차를 구매하셨다면 먼저 리프트를 띄워 하부 고무패킹을 먼저 빼 보세요. 그리고 구멍 안으로 손가락을 넣어 점액 물질 같은 것이 느껴지면 이너왁스가 도포된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도포가 되지 않은 겁니다.

 

참고로 제차 이너왁스 도포 시 공임비는 3만원 지불했고 이너왁스는 캔당 25천원 주고 구매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과거 K7 녹사건으로 인해 혹시 내차에도 녹이 슬었을까? 라는 의구심과 불안감이 증폭되어 하부방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그래서인지 자동차를 구입하고 나서 따로 방청하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제 개인적으로 자동차를 10년이상 타거나 바닷가에 살지 않는 이상 따로 방청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K7 녹사건으로 인해 그러한 생각이 좀 바뀌었습니다.


그러다가 혹시 제가 현재 테스트하고 있는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하부방청 수준이 어떨까? 해서 2010년3월과 2010년 6월 엔진오일 교체하면서 찍은 사진을 토대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제가 롱텀테스트하고 있는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하부방청 수준이 어느정도일까요?


윗사진은 제가 올해 3월중순에 대관령 정상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아시다시피 올해 겨울과 초봄에 눈이 상당히 많이 내렸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눈길달리는걸 좋아하는데요. 첫번째 엔진오일을 교체한 올해 3월2일이후 눈이 내릴때마다 차끌고 눈길주행을 많이 하였습니다. 눈길에서는 염화칼슘을 많이 뿌리는거 아시죠?


이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녹이 슨 정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윗 사진은 2010년 3월2일 첫번째 엔진오일 교환할때입니다. 당시 주행거리는 2195km, 아래사진은 6월15일 두번째 엔진오일 교환할때 사진찍었습니다. 당시 주행거리는 9161km입니다.


사진을 비교해 보니 붉게 산화된 머플러가 가장 눈에 띕니다. 그 외에도 머플러 체결부위도 녹이 좀 슬었구요. 뒷휀더 안쪽도 조금 붉으스름하게 변했습니다.


머플러 체결부위입니다. 자세히 보면 녹이 슬어있죠. 머플러 다른부분은 녹이 슨거 없이 붉게 산화되기만 했는데 저부분이 유독 거슬리더군요.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중간머플러하고 할수 있는 중통입니다. 역시 위쪽이 첫번째 엔진오일 교환할때 찍은 사진이구요. 아래사진이 두번째 엔진오일 교환할때 찍은 사진입니다.


배기라인이 약간 붉게 변한거 빼고는 전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입니다.


촉매부위입니다. 위쪽에 첫번째 엔진오일 교환할때 찍은사진이고 아래사진이 두번째 엔진오일 교환할때 찍은 사진입니다.


역시 촉매와 배기라인이 조금 더 붉게 변한거 빼고는 특별한 이상은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하부방청수준은 양호한 편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물론 머플러 체결부위 일부분에서 녹이 슨것은 좀 아쉽다고 생각됩니다.

어제 오늘 현대 기아차 중심으로 굵직굵직한 이슈들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떠올랐습니다.


월요일과 화요일에는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트랜스폼 택시 급발진 사고로 크게 이슈가 되었으며 오늘은 기아자동차의 준대형 세단 K7의 하부 녹문제가 크게 이슈가 되었습니다.


K7 하부 녹 사건이 워낙 많이 퍼져서 아마 사진을 한번씩을 보신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무엇보다도 경악스러운것은 사진에 나온 K7의 주행거리가 겨우 500km에 불과했다는것 그리고 차를 구입한지 두달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럼 인터넷에서 크게 이슈가 된 기아 K7의 하부사진부터 보겠습니다. 출처는 slrclub과 다음 아고라입니다.





K7의 전체하부사진이 없어서 성급히 결론내리지는 못하지만 일단 사진으로만 보면 K7의 녹은 상당히 심각한 수준인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배기관에 피어난 녹의 경우 뜨거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기관의 특성상 녹이 어느정도씩은 나게 되어 있습니다. 설령 녹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은 녹이 피어오르게 됩니다.


머플러를 포함한 배기관의 경우 수명이 따로 명기되어 있지않은 반영구적 부품입니다. 차종 그리고 날씨 및 장소에 따라 조금씩 틀리지만 보통 엔드머플러의 경우 6-10만키로 사이를 교환시점으로 잡는 편입니다.(스테인레스의 경우 그보다 좀더 긴편이구요)


그런데 사진으로 볼때 6-10만km는 커녕 주행거리 1만km정도라도 버틸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해당차량만의 문제일지 아니면 차량전체의 문제일지는 판단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출시된지 두달밖에 되지않은 신차가 10년이상된 올드카와 비슷하거나 더 심하게 부식되어가고 있는것은 매우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K7 하부를 보고 문득 제가 롱텀테스트용으로 가지고 있는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어떨까? 해서 하부를 들춰본적이 있습니다.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현재 주행거리가 3400km를 넘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2월4일에 GM대우 부평공장에서 받았습니다.


3월2일에 엔진오일을 교체한답시고 차를 리프트에 띄우고 엔진오일을 교환한적이 있습니다. 그때 리프트 아래에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하부사진을 몇컷 찍었는데요. 당시 주행거리는 2195km입니다.


이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하부사진을 올리겠습니다.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뒤쪽 하부입니다. 경차이지만 언더코팅이 상당히 잘되어 있는게 눈에 띕니다. 


좀더 가까이서 찍어봤습니다.


배기매니폴더와 촉매부분입니다. 기존오일필터와 묵은엔진오일을 빼는 과정에 사진찍어보았습니다. 너클과 타이로드 연결부분이 약간 녹이 슬긴 했지만 k7보다는 양호하다고 생각됩니다. 무엇보다도 배기라인이 위의 K7과 비교하면 상당히 깨끗한 편입니다.


촉매부분을 좀더 확대해 보았습니다. 뜨거운 배기온으로 인해 촉매 앞쪽 매니폴더가 전체적으로 색이 변했지만 K7에 비하면 양호한 수준입니다.


마지막으로 중통부분입니다. K7은 배기라인을 따라 방열판이 별도로 존재합니다만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방열판이 쭉 이어져 있지 않습니다. 이부분은 좀 아쉽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중통이 포함된 배기라인이 매우 깨끗하다는걸 한눈에 봐도 알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와 K7 하부를 볼때 제일 큰 차이점이 있는데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는 왠만한 부분은 다 언더코팅처리가 되어있습니다만 럭셔리를 표방하는 K7은 하부 안쪽에 언더코팅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보였습니다.


3000-4000만원이나 하는 중대형차가 1000만원대의 경차보다 방청처리가 좋지 않은건 심각한 문제이지 않을까요? K7 전체문제가 아니길 바랄뿐입니다.


혹시나 다른분들이 이런 질문 올릴수도 있을겁니다.


"날씨 좋은 날에만 주행해서 녹이 덜 난거 아닌가요?"


답변을 드리자면 물론 맑은 날에도 탔지만 비오거나 눈온날에도 마크리를 타고 운전했습니다.


1000km까지는 길들이기 한답시고 급가속 급출발은 안했지만 눈비 오는날 주행이 많았습니다. 올겨울 날씨 아마 다들 아시겠지만 유난히 기온변화가 심하고 눈비가 잦은편이란걸 아실겁니다.


설날연휴 이전 대구 내려갈때도 눈이 많이 내렸는데 쌓이진 않았지만 제설차들이 염화칼슘을 상당히 많이 뿌려댔습니다. 그리고 세차도 바로 하지 않았구요.


그리고 2월말과 3월초 강원영동지역에 눈이 많이 올때도 역시 달렸습니다 ㅡ.ㅡ; 저는 개인적으로 맑은날보다 비오거나 눈오는날 차끌고 나가는걸 더 좋아하는 편입니다^^;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로 눈오는 날 달린 영상입니다. 혹시나해서 사람들이 믿지 않을까 대비해서 인증샷 개념으로 올린겁니다.


아무튼 기아자동차는 지금부터라도 방청에 좀더 신경을 써주었으면 합니다. 배기관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언더코팅조차 되지않아 철판이 휑하게 드러난 건 좀 심한 처사 아닐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