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8일에는 제가 늦은밤까지 볼일이 있는 관계로 콜을 한개밖에 타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화요일이라 그런지 콜도 없었던 하루였구요.


윗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번에 대리한 차량은 대우의 첫 전륜구동형 중형세단인 레간자입니다. 아마 10여년전 레간자 처음 출시할 당시 광고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당시 한국소비자들이 선호했었던 정숙성 이미지를 높인 쉿~ 소리없이 강하다! 라는 멘트가 인상깊었던 차량입니다.


그런데 세월의 힘은 이기지 못해서일까요? 레간자의경우 연식이 된 차량은 엔진소음이 커지고 실내엔진음 유입도 큰편인데 이번에 대리한 차량또한 그랬습니다. 엔진소음유입만 따지면 제가 타고 있는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보다도 더 크게 들렸으니까요.


이번에 대리한 차량이 정확히 어떤엔진이 장착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rpm게이지가 6500rpm부터 레드라인인걸로 봐서는 DOHC엔진이 탑재된거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엔진음과 엔진회전질감도 SOHC보다는 DOHC에 가까웠습니다.


레간자에 들어간 미션이 ZF제인걸로 아는데 그래서인지 변속충격이 좀 있는 편입니다. 70km/h즈음에서 4단으로 변속되며 락업클러치가 물리는데요. 계기판기준으로 시속 75km/h에서 딱2000rpm을 가리킵니다.


정왕역 부근에서 종료하고 콜비 15000원 받았습니다. 그리고 버스타고 오이도로 복귀한뒤 콜이 나오기를 기다리다가 더이상 나오지 않아서 귀가했습니다.


수입은 콜비 15000원 - 버스비1000원 = 14000원 나왔습니다 ㅡ.ㅡ;


혹시나 야간주행하다가 헤드라이트가 갑자기 툭 꺼진 경험을 해보신분은 없으신지요?


얼마전에 저는 그러한 경험을 했었습니다. ㅡ.ㅡ


주행하는데 헤드라이트가 너무 어둡다 싶어서 길가에 차를 정차하고 헤드라이트를 봤더니 라이트 스위치를 아무리 돌려도 헤드라이트가 점멸이 되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집에서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거리인데다 가로등도 있는 편이라 조심스럽게 비상등을 켜고 다시 집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목적지까지 지하철을 타고 갔습니다.


헤드라이트가 주행중 갑자기 꺼진 이유가 무엇일까요? 여러가지 요인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1번 헤드라이트 수명이 다되었다.


제 생각에 1번은 아닙니다. 제 프라이드는 헤드라이트 교체한지 1년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통상 헤드라이트 수명이 3년정도임을 감안하면 헤드라이트 수명이 다되어서 교체했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헤드라이트 수명이 다될때 아예 양쪽 램프가 다꺼지지 않고 한쪽만 꺼지는 경우가 대부분인걸 감안하면 1번은 아닙니다.


2번 알터네이터 수명이 다되었다.


좀 드문 경우지만 알터네이터 수명이 다되어갈때 헤드라이트를 포함한 전기장치에 이상을 일으킨뒤 알터네이터 수명이 다되어 작동이 멈추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헤드라이트가 꺼진 후에도 이상없이 시동이 걸리는것을 보면 알터네이터 수명이 끝나서 헤드라이트가 꺼졌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알터네이터 수명이 다되면 재시동이 걸리지 않아야 합니다)


3번 퓨즈가 끊어졌다.


제일 유력한 고장원인입니다. 퓨즈가 끊어지면 주행중에도 헤드라이트가 꺼질수 있다는 얘기를 얼핏 들었습니다.


4번 엔진룸에 있는 퓨즈선 릴레이가 단선되었다.


이것도 3번과 함께 제가 생각한 고장원인입니다. 노후차의 경우 배선이 낡아 배선이 단선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고 합니다.


4가지 고장원인중 제가 유력하게 생각한 고장원인은 3번과 4번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날 낮에 카센타로 가서 고장진단을 받았습니다.


카센타에 계신 자동차 정비사가 먼저 퓨즈박스를 열고 퓨즈단선유무를 확인했지만 퓨즈는 이상없었습니다. 


그리고 퓨즈선 릴레이가 있는곳에 가서 릴레이선을 교체해보니 헤드라이트가 점멸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습니다.


퓨즈선릴레이 3개중 2개를 새로 사서 퓨즈릴레이 박스에 꽃았더니 정상적으로 헤드라이트가 작동되었습니다.


나중에 알고보니 노후차중에 이렇게 가끔씩 릴레이선이 나가 헤드라이트나 오디오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럴때 알터네이터 고장으로 착각해서 멀쩡한 알터네이터를 교체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합니다.
 

알터네이터 교체하는데 보통 10만원 이상 들지만 저는 릴레이선 교체로 7000원만 지불했습니다. 아직 알터네이터는 쌩쌩한 편이라고 정비사께서 저한테 알려주셨습니다. 시동걸고 전압측정 해보니 14V 내외로 측정되었습니다.


제차의 경우 나온지 13년된 고령차인 관계로 릴레이 뿐 아니라 다른 자동차 배선또한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거 같습니다. 노후차일 수록 차량관리를 더욱 꼼꼼하게 해주어야겠죠. 


일부 카센타의 경우 사소한 고장이라도 고장증상을 부풀려 수리비를 많이 요구하는 카센타가 더러 있는데 그런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 고장증상에 대한 원인과 대처법을 어느정도 숙지하는것도 좋을듯 싶습니다. 


13만km을 넘긴 제차입니다. 주요부품들이 슬슬 말썽을 일으킬 시기가 다가왔습니다.


제가 프라이드를 인수받고나서 처음에는 그냥 대충 타다가 1년뒤에 폐차시키고 다른차로 바꾸거나 아니면 엔진스왑해서 탈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인수받고 나서 타보니까 생각외로 파워트레인 계통상태가 좋아서 4-5년 더 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전 차주가 타이밍벨트와 점화플러그 교체시킬때가 되었다라고 해서 한달정도 더 타다가 교체할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연료라인 계통에 말썽이 일어나 30만원 주고 싹 고쳤습니다.

그리고 나서 며칠 더 타다가 타이밍벨트 끊어져서 길한가운데 서는것보다 오히려 미리 교체하는게 좋을거 같아서 타이밍벨트셋트 전부 교체했습니다.

또한 점화계통도 교체시기가 지났다고 하니 점화플러그까지 바꾸었죠.

묵은 점화플러그를 봤는데 신품에 비해 확실히 간극이 넓어졌고 상당히 많이 탄 흔적이 보입니다.(아마 적어도 5만키로이상 교체안하고 주행했던거 같습니다)

어제 그렇게 오후에 꼬박 시간들여 타이밍벨트와 점화계통을 싹 바꾸고 오늘 오전에 한적한 도로에서 제로백(0-100킬로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는데 잘나왔는지 모르겠지만 11초대 후반이 나오더군요.(엔진컨디션은 현재 최상입니다)

앞으로 돈들어갈일 없기를 바라며 4-5년 더탈동안 다른고장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저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올해 나오는 소나타 후속모델인 YF디젤수동을 구입할려고 마음먹었는데 프라이드 타니까 신차 구입할 마음이 싹 없어졌네요^^;

리데나교체 + 미션오일 9만원
연료라인교체 30만원
타이밍벨트+점화계통 교체 23만원

합계 62만원이 들었네요 ㅎㅎㅎ


얼마전에 30만원 주고 얻어온 구형 프라이드입니다. 남들눈에 똥차로 보이겠지만 저에게는 진정한 첫차입니다^^;




올해 2월 저는 드디어 진정한 나의 애마를 맞이했습니다.


차가격은 30만원 보험료 약60만원 취득세 등록세 합쳐서 18000원 약 100만원 약간 안되는 돈을 지불하고 나는 96년식 쥐색 구형 프라이드1.3을 업어왔습니다.


대한민국 중고차 쇼핑몰인 엔카에서 동년식의 프라이드가 최저70만원 최고150만원까지 거래되는걸 감안하면 싸게 얻어온 셈입니다.


구형 프라이드이지만 그당시에 제일 최고급형인 GLXI모델로 앞좌석 파워윈도우, 에어컨,  파워스티어링 핸들, 전동식 트렁크 개폐장치등 갖출건 다 갖춘 차량입니다.


제가 경제적인 소형차 특히 프라이드를 구입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로 가벼운 공차중량에 넉넉한 배기량을 가진 엔진


프라이드 3도어의 경우 공차중량은 800kg, 5도어는 820kg이며, 프라이드모델중에 가장무거운 프라이드베타와 웨건또한 880kg으로 900kg을 넘지않는 가벼운 차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아의 경차인 모닝이 약900kg임을 감안하면 모닝과 비슷하거나 더 가벼우며 795kg의 공차중량을 보여주는 마티즈와 비교해서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경차와 비슷한 무게에 낮은 RPM부터 풍부한 토크를 내주는 1300cc sohc엔진은 또한 넉넉한 파워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그래서 시내 기동성은 물론 고속주행시 다른차에 뒤지지 않는 주행성능을 내주었습니다.


두번째는 넉넉한 파워에 걸맞는 널널한 수동기어비입니다.


프라이드 기어비는 요즘에 보기드문 널널한 기어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면 알수있는데요.


요즘나오는 뉴프라이드 1.6DOHC 수동5단모델과 기어비 비교시 각단기어비가 널널하며 특히 고속도로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동 5단 3000RPM에서 속도를 비교하면 뉴프라이드 수동5단은 3000RPM에서 시속100킬로가 채 안되지만 제가 선택한 구형 프라이드1.3은 3000RPM에서 113킬로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왼쪽 검은색 데이터가 구형프라이드 5단수동기어비 왼쪽 빨간색 데이터가 지금 생산되는 뉴프라이드(베르나)5단 수동기어비입니다. 우리나라 운전자들이 고속도로에서 많이 사용하는 영역이 5단 2500-3000rpm인데 구형프라이드는 5단기어비가 길어 같은 속도주행시 RPM이 낮아 더 높은 연비주행이 가능합니다.

 


즉 낮은 RPM에서 더 많은 속도를 내주기 때문에 각단 가속력은 요즘 나오는 소형차들보다는 떨어지지만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킬로의 속도로 편안하게 크루징 할수 있으며 낮은 RPM으로 상당히 환상적인 연비를 보여줍니다.

 


아토스와 마티즈의 경우 부족한 엔진출력을 만회하기 위해서 기어비가 상당히 타이트하게 설정되었습니다. 수동5단에서 시속 100킬로 주행시 3500rpm에 육박하여 엔진소음이 시끄러우면 높은 RPM으로 연료소비도 많은 편입니다.



세번째는 넓은 실내공간입니다.



프라이드의 경우 전고가 1460mm으로 80년대 후반에 나온 승용차중에서는 제일 높은 전고를 자랑하며 요즘 나오는 소형차와 비교해도 전고가 비슷할 정도로 전고가 높아서 헤드룸이 넉넉합니다.



시트가 소형차라서 시트가 작고 양옆을 잡아주는 쿠션이 부족하지만 엉덩이 시트가 두껍고 무엇보다도 전면시야가 확 트여서 운전하기가 상당히 편합니다.


또한 해치백 모델이지만 뒷좌석을 5:5로 폴딩할수 있어 왠만한 큰 짐도 적재할수 있습니다.


네번째 뛰어난 차체강성과 부족하지 않은 운동성능입니다.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고 마쯔다에서 설계했으며 포드가 브랜드로 전세계에 판매된 월드카입니다.


그래서 차체강성이 당시에 나온 대우나 현대의 국산차보다 더 뛰어났고 높은 전고임에도 무게중심이 낮고 차체중량이 가벼워서 90년대 중반까지 국내 카레이스에서 프라이드가 상위권에 입상한 경력이 많습니다.


이렇게 뛰어난 차체강성과 운동성능으로 프라이드는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없는 해치백 모델이라는 아킬레스건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았으며 특히 프라이드 후속모델 아벨라가 나왔지만 그후에도 프라이드는 단종되지 않았으며 아벨라 후속으로 나온 기아 리오가 나오고 나서야 프라이드는 아벨라와 함께 2000년 1월에 단종되었습니다.


하지만 그후 프라이드는 이란등 다른나라에서 각 나라 실정에 맞게 변형되어 현재도 생산되고 있습니아. 아래사진은 이란의 SAIPACORP라는 자동차회사에서 현재도 생산되는 프라이드 변형모델입니다. 앞뒤가 약간 바뀐점을 빼고는 차체는 프라이드것을 그대로 가져다 썼으며 인테리어 또한 요즘 추세에 맞게 계기판과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변경되고 트립컴퓨터가 추가된점을 빼면 우리나라의 프라이드와 비슷합니다.


그래서 저는 연비좋은 소형차 특히 프라이드를 우선적으로 선호했으며 그 결과 제가 평소 알고지내던 지인분께 싸게 구입했습니다.


주행거리 11만킬로를 넘긴 시점이라 앞으로 차량관리에 신경을 써야 되고 갑작스러운 고장등에도 대비해야되지만 저 혼자만의 차를 소유하게 되어서 너무 기쁩니다.

이란 SAIPACORP 자동차회사에서 지금도 생산중인 프라이드 외관이 우리나라의 프라이드와 거의 비슷하며 범퍼 및 전조등 디자인이 약간 바뀌었다.








+ Recent posts